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보화가 중화민족에 천재일우의 기회를 가져다주고 있다"며 "역사적 기회를 놓치지 말고 기술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미래 국가 간 경쟁의 핵심 승부처는 결국 IT 분야 기술과 인터넷이라는 중국 지도부의 인식을 보여준다.

시 주석은 지난 20~21일 베이징에서 전국 인터넷 안전·정보화 업무회의를 열고 집권 2기 정보화 정책의 청사진을 밝혔다고 신화통신이 22일 보도했다. 이번 회의에는 중국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 7명 전원이 참석했다.

시 주석은 회의에서 정보화가 중국 각 분야 경쟁력을 끌어올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사회발전을 이끄는 정보화의 선도 역할을 굳건히 하고 정보화 영역에서 군민 융합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핵심 기술은 국가의 보물"이라며 "굳건하고 흔들리지 않는 태도로 정보화 분야의 기술혁신을 가속화하고 자주혁신의 정보화 강국을 건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취임 이듬해인 2014년 당 중앙 인터넷 안전·정보화 공작소조를 신설, 직접 조장을 맡아 정보화를 독려해왔다. 지난 3월에는 이 공작소조를 위원회로 격상시켜 위상과 권한을 한층 강화했다. 집권 2기 더한층 강력한 정보화 드라이브를 예고했다. 시 주석이 조장을 맡은 10여 개에 이르는 각 분야별 영도소조 중 위원회로 격상된 것은 인터넷을 포함해 외교와 경제 분야 등 단 4개뿐이었다.

시 주석은 또 '21세기 디지털 실크로드'라는 개념도 제시했다. 그는 "일대일로(一帶一路·신실크로드) 건설을 계기로 참여 국가들, 특히 개도국들의 인터넷 인프라 건설, 디지털 경제와 사이버보안 등 방면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21세기 디지털 실크로드를 건설하자'고 강조했다. 미국이 화웨이와 ZTE 등 5G 기술을 가진 중국 정보통신기업들을 옥죄고 있지만 일대일로를 통해 미국의 견제를 무력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 주석의 이번 발언에 대해 "미·중 무역마찰로 곤경에 처한 IT 분야에 대한 국가 지원 확대를 약속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WSJ는 또 정보화 영역에서 군민 융합을 강조한 것은 "중국 내 인공지능 및 양자통신 기술 개발에서 군민 융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시 주석은 그러나 이번 회의에서 인터넷에 대한 검열 강화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시 주석은 "인터넷 안전이 없으면 국가안전이 없고 경제·사회의 안정적인 운용도 없다"며 "인터넷이 유해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유언비어로 말썽을 일으키는 플랫폼이 절대 될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IT 분야의 급속한 굴기에 미국도 갈수록 견제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산 첨단 IT 분야 수입품에 집중해 추가 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중국의 미국 IT 분야 투자를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긴급명령을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20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