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관광 금지 7개월 만에… 中여행사, 한국 상품 판매 재개]

한국과 중국이 '사드 봉합'에 전격 합의한 것은 미국 압력이라는 외인(外因·외적 요인)과 사드 철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내인(內因·내적 요인) 등이 작용했다는 중국 매체의 분석이 나왔다.

온라인 매체인 '둥베이야관차(東北亞觀察)'는 1일 '한·중은 왜 갑자기 사드 갈등을 접고 관계 회복을 결정했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중 양국이 사드 봉합에 나선 요인을 4가지로 분석했다.

첫째로 꼽은 요인은 미국이었다. 이 매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아시아 순방에 들어가 동맹국의 단결과 무력 증강 메시지를 통해 북한을 압박하고, (북한 관련) 중국에 더 큰 역할을 요구할 것"이라며 "한·중 관계 회복은 (미국이라는) 강력한 외적 힘의 요구에 딱 들어맞는다"는 분석이다.

둘째는 미국이 외부 요인이라면 사드 철수가 불가능해졌다는 현실이 내부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이 매체는 분석했다. 사드는 이미 배치됐고 북한이 핵실험을 계속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불가능한 사드 철수를 물고 늘어질수록 한·중 관계는 더 진퇴양난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는 경제적 요인이다. 중국도 사드 보복으로 손실이 컸기 때문에 지혈 조치를 취했다는 분석이다.

이 매체는 "한국에 대한 제재는 중국이 생각했던 것만큼 효과가 크지 않았고, 제재를 가하는 중국도 손실을 봤다"고 했다. 중국 제재에도 올해 한국 수출은 놀랄 정도로 호조를 보였고 증시도 상승세를 탔다. 이 매체는 "중국인 관광객(유커·遊客)이 한국 관광업계의 최대 손님인 것처럼 한국 관광객도 중국 여행업계의 중요한 손님"이라며 "(중국으로선) 적군 1000명을 죽이는 데 아군 800명이 죽은 셈"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웃의 잘사는 나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손해는 결국 자신(중국)의 몫"이라고 덧붙였다.

이 매체가 꼽은 마지막 요인은 군사·안보 면에서 이번에 한국이 중국의 우려를 인정했다는 점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구두로 밝힌 ▲미국 미사일방어체제 불참 ▲사드 추가 배치 포기 ▲한·미·일 군사 동맹 맺지 않기 등은 중국 입장에선 사드 철수보다 더 중요한 문제라는 분석이다.

이 매체는 작년 8월 환구시보 등이 사드 보복 선동에 나설 때 "롯데를 쫓아내고 한국을 제재하자는 주장은 대국(大國) 쇼비니즘(광신적 애국주의)이자 극단적 민족주의에 불과하다"며 "대외적으로 패권주의를 비판해온 중국이 스스로 패권국을 자처하는 꼴"이라고 비판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