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한국철도공사의 기술인력을 확대하고 안전조직을 독립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토해양부와 코레일은 최근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KTX사고와 고장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안전강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우선 차량 고장 최소화를 위해 KTX1의 경우 고장이 우려되는 부품을 예방 차원에서 전량 교체하고 주요 부품에 대한 교체주기를 단축하기로 했다.
올해 안에 열차 추진장치인 견인전동기 522개 전량을 교체하는 등 고장이 잦은 11종의 부품을 교체하고 세부 부품에 대한 교체주기도 줄이기로 했다.
국내기술로 개발된 KTX-산천의 경우 공기배관과 고압 회로 등 고장이 반복되는 10종의 부품을 교환하거나 기술적 보완을 추진하고, 제작사에 대해서는 전담 품질조직을 확대해 전문가를 철도공사 차량기지에 증원해 상주토록 조치했다. 정비 품질을 높이기 위해 고장 원인분석 등을 위한 철도공사 내 전문 기술인력을 늘리고, 항공기 수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과 정비관리감독체계도 도입키로 했다.
또 궤도회로 등 1단계 구간의 노후시설을 조기에 개량하고, 선로변 기능모듈 예비설비를 구축하는 등 핵심 신호설비를 이중화해 운행장애를 사전에 막을 계획이다.
기존의 수송안전실에서 안전조직을 떼어내 사장 직속으로 개편토록 해 관제감독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현장 상시점검을 위한 기동안전점검팀을 운영키로 했다. 기술력과 경험을 갖춘 유지보수업체 선정을 위해 선정기준도 강화하기로 했다.
장애원인 분석과 신속대응을 위해서는 경부선 1단계 구간에 설치된 선로전환기 184대의 주요 부품별 장애 여부를 감시할 실시간 장애감시시스템이 구축된다.
국토부는 "이번 대책을 KTX 관계기관 종사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철도안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입력 2011.04.13. 14:36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