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갖 편법을 다 동원해 봤자 모두 허사였다'의 '편법'은? ①篇法 ②編法 ③便法 ④偏法. '便法'에 대해 알아보자.
便자는 '사람 인'(人)과 '바꿀 경'(更)이 조합된 것이다. '편안하다'(comfortable)가 본뜻인데, '쉬다'(take a rest)는 뜻으로도 쓰인다. '똥오줌'(urine and feces)을 일컫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변]으로 읽는다.
法자는 원래 '水++去'의 복잡한 구조였는데, 쓰기 편함을 위해서 간략하게 고쳐졌다. 죄악을 제거[去]함에 있어서는 수면[水]같이 공평무사해야 함을 '法'자를 통하여 추론하기도 한다. '형벌'(punishment) '법률'(law) '방법'(method) '가르침'(teaching) 등의 뜻으로 쓰인다.
便法은 '간편(簡便)하고 손쉬운 방법(方法)'을 이른다. 당나라 때 한 시인의 당부를 들어보자. '어려운 환경에서 성공 얻나니, 젊은이여 쉬운 일만 고르지 마오!'(好事盡從難處得, 少年無向易中輕 - 李咸用)
▶ 다음은 '풍류' [정답 ③]
입력 2006.01.12. 18:41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