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어린이를 선발하여 푸짐한 상을 주었다'의 '우수'는?
①憂愁 ②憂秀 ③優秀 ④優愁.
답은 ③번. '優秀'란?
優자는 '(배불리) 먹는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는데 '사람 인'(人)이 의미요소로 쓰인 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배불리 먹기를 소원하였기 때문이었나 보다. 憂(근심할 우)가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넉넉하다' '후하다' '뛰어나다' '광대' 등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하였다.
秀자는 벼의 이삭이 '패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벼 화'(禾)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乃도 의미요소인 것만큼은 확실하지만 어떤 의미인지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후에 '이삭' '빼어나다'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優秀는 '여럿 가운데 뛰어남'을 이른다. 우수한 두뇌, 빼어난 기억력을 지녔다 하더라도 좋지 못한 일에 사용하면, 차라리 그렇지 못함이 더욱 좋을 듯. '거짓말을 한 그 순간부터 뛰어난 기억력이 필요하게 된다'(코르네유).
▶ 다음은 ‘경하’
(全廣鎭·성균관대 중문학과 교수. www.ihanj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