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문재인 정부에서 부동산 가격 동향 등 주요 국가 통계가 왜곡됐다는 의혹과 관련해 현장 감사를 두 달 만에 재개한다고 20일 밝혔다.

감사원은 ‘주요 국가 통계 작성 및 활용 실태’ 감사와 관련해 20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약 3주간 통계청과 국토교통부, 한국부동산원 등 기관 3곳을 대상으로 현장 감사를 진행한다고 이날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관계자별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등 필요한 증거를 보강하고 추가 보완 조사 등을 하고자 현장 감사를 연장했다”고 말했다.

감사원은 앞서 작년 9월 말부터 12월 16일까지 약 3개월간 이 기관들에 대한 현장 감사를 했는데 이를 연장한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국토부 산하 기관인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이 부동산 가격 동향 조사를 할 때 표본을 의도적으로 치우치게 추출하거나 조사원이 숫자를 임의로 입력하는 등 고의적인 왜곡이 일어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통계청이 가계동향조사를 전면 개편한 경위와 청와대 관계자들이 가계동향조사나 보도 자료와 관련해 특정 내용을 넣으라고 하거나 빼달라고 지시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감사원이 현장 감사를 연장한 것은 문재인 정부 고위 인사들을 잇달아 조사한 이후 추가로 확인할 내용이 발견됐기 때문이란 관측이 나온다. 감사원은 작년 감사 기간에 황수경 전 통계청장과 강신욱 전 통계청장을 조사했다. 올해 들어서는 문재인 정부 당시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홍장표 경제수석, 김상조 정책실장 등 청와대 참모들과 윤성원 전 국토교통부 1차관을 대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부터 연장되는 현장 감사 내용에 따라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에게도 출석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