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8일 대구 도심에 있던 대구 군(軍) 공항과 공군 기지를 11조4000억원을 들여 2030년까지 경북 군위·의성군으로 확장 이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군 공항과 붙어 있는 국토부·공항공사 소유의 대구 공항도 함께 이전해 대규모 군·민간 통합 공항으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국방부와 대구시는 이날 “대구 군 공항 이전 계획을 담은 ‘대구 통합 신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대구시는 경북 군위·의성군에 신공항을 건설해 이를 국방부에 기부하고 종전 대구 군 공항의 부지를 국방부로부터 넘겨받아 비용을 회수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이전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재 대구 공군 기지에 주둔한 공군 군수사령부·공중전투사령부, 11전투비행단, 육군 507항공대대, 국통사 대구통신소 등 육·공군, 그리고 주한 미군도 신공항으로 이전하게 된다. 정부는 지난달 미 국무부로부터 주한 미군사로 협상 권한을 위임하는 절차도 완료했다. 국방부는 미군 시설 이전의 기본 원칙과 절차를 결정하는 포괄 협정 협상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현 대구 군 공항의 면적은 6.93㎢이지만 이전하면서 16.9㎢가 돼 2.5배 가까이로 커진다. 여기에 민간 공항이 추가로 들어서면 규모는 더 커진다. 대구 군 공항과 접해 있는 현 대구 공항은 면적이 약 0.17㎢에 불과하지만, 신공항에서는 그 면적이 대폭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신공항의 민간 공항 면적과 시설 규모 등은 국토부가 연간 예상 이용객 수 등을 고려해 조사 중에 있다. 신공항은 대구시청과 직선으로 47㎞ 정도 거리다.

총사업비는 군 이전 비용 약 11조1000억원, 지원사업비 약 3000억원 등 총 11조4000억원으로 책정됐다. 민간 공항 확대 이전비는 현재 1조4000억원으로 예상되지만 타당성 조사 결과 등에 따라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내년 중에 기본·실시설계에 나서 2030년까지 공사를 마친다는 목표다.

대구 군 공항 이전은 대구시의 숙원 사업 중 하나였다. 공항이 도심에 있어 소음 및 안전, 고도 제한 문제 등이 제기됐다. 군도 주변 고층 건물 등으로 항공 작전 활동에 제한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