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아마존 일대 화재 모습/로이터, 연합뉴스

‘지구의 허파’로 불려온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지난 10년간 흡수된 이산화탄소(CO2) 양보다 배출된 CO2가 20%가량 더 많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일대의 잦은 산불과 무분별한 벌목, 기후변화로 인해 건조해진 날씨 등이 숲의 기능을 떨어뜨렸다는 분석이다.

미국 오클라호마대와 프랑스 국립농업연구소(INRA) 등 연구진이 ‘네이처 기후변화’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10~2019년 브라질의 아마존에서 배출한 CO2는 166억t에 달했지만 흡수량은 139억t이었다. 10년간 27억t에 달하는 CO2가 초과 배출된 셈이다. 연구진은 위성 자료를 분석해 지상 생물(biomass)과 숲 면적 등으로 아마존이 흡수해 저장하는 CO2와, 화전·벌목 등으로 숲이 파괴되면서 대기로 방출된 CO2의 양을 비교했다.

아마존의 탄소 저감 역할이 뒤바뀌어 ‘CO2의 굴뚝’처럼 됐다는 사실이 수치로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한반도 면적(약 22만㎢)의 25배에 달하는 아마존 우림(550만㎢)은 9국에 걸쳐 있으며, 이번 연구가 이뤄진 브라질 지역이 60%를 차지한다. 연구진은 “(브라질의 파괴가 심해) 아마존 전체로는 아마도 ‘탄소 중립’일 것”이라면서 “그러나 아마존 숲을 가진 다른 나라에서도 숲 파괴가 증가하고 가뭄도 심해지고 있다”고 했다. 열대우림은 CO2를 사용하는 광합성 외에 식물과 미생물의 호흡 등으로 CO2를 배출해 탄소 저감 기능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구진은 “2019년 1월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 취임 이후 환경보호 정책의 급격한 후퇴가 있었다”고 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2019년 화전과 벌목 등에 의해 파괴된 아마존 지역은 연간 390만㏊로 이전 2년간 100만㏊의 4배 수준으로 늘었다. 보우소나루 대통령 취임 이후 브라질은 환경보호구역을 해제하고 국립공원을 민영화하는 등 개발 정책을 폈다. 환경단체들은 아마존 산불에 대해서도 “브라질 정부의 묵인 하에 개간을 위한 방화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