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마조프의 형제들>, <악령> 등을 쓴 러시아 소설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1821~1881년). 그의 삶은 자신의 소설만큼이나 비극적이었다. 그는 젊은 시절 러시아 군주제를 반대하는 반정부운동을 하다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다. 집행 직전 극적으로 황제의 사면을 받고 시베리아로 보내져 수년 동안 혹한의 유배 생활을 했다. 그 과정에서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 죽음을 떠올리는 날들을 보냈다.

러시아 화가이자 사회운동가였던 바실리 페로프(1834~1882년)가 1872년에 그린 도스토옙스키 초상화. 러시아의 군주제를 비판했던 도스토옙스키 저항의 눈빛이 그림에 잘 살아있다. /모스크바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소장

도스토옙스키는 어렸을 때부터 뇌전증을 겪었다. 그는 뇌전증 발작이 시작될 때의 경험을 ‘이승과의 단절’, ‘저승의 시작’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뇌전증 발작 공포와 현실의 생존 공포가 어우러진 삶이 비극적 소설의 토양이 됐다.

예전에 간질 발작으로 불리던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가 유발된 것으로, 의식을 잃거나, 발작과 같은 행동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상황이 뇌전증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 시대에도 기록되어 있을 만큼 역사가 깊다. 19세기까지만 해도 뇌전증 발작을 보이면 악령에 사로잡혀 있다고 여겼다.

뇌전증 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양하다. 어릴 때는 분만 중 뇌손상이나 뇌염, 뇌수막염을 앓고 난 후유증으로 생길 수 있다. 교통사고로 인한 뇌손상이나 뇌종양도 원인이다. 이유를 모를 때도 많다. 고령사회에서는 뇌졸중 후유증으로 뇌전증을 앓는 고령자가 늘고 있다. 국내 뇌전증 환자는 37만명으로 추산된다.

박진석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진단에 뇌파, 뇌MRI, 양전자방출촬영(PET) 등이 사용되며 치료는 주로 항뇌전증 약제를 사용한다”며 “약물 난치성 뇌전증의 경우 해마, 편도, 해마곁이랑 등을 절제하는 수술적 방법으로 60~80%의 환자에게서 질병의 완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뇌전증은 이제 <죄와 벌> 개념의 질병이 아니다. 사회적 인식을 새로이 하고 적극적으로 진단,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