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후 제롬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파월 의장은 회견에서 인플레이션 둔화를 뜻하는 ‘디스인플레이션’을 15차례 언급했다. /AFP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췄다. 연준은 1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해 연 4.5~4.75%로 결정했다. 작년 6·7·9·11월 네 차례 연속 이례적인 ‘자이언트 스텝(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던 연준은 지난해 12월 ‘빅 스텝(0.5%포인트 인상)’으로 속도를 늦춘 데 이어 올 들어 첫 기준금리 결정에서 인상 폭을 더 줄였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과정에 돌입했다고 처음으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인한 것은 매우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디스인플레이션이란 물가상승세가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파월 의장이 디스인플레이션을 언급한 것은 처음으로, 그는 이날 회견에서 이 단어를 15차례 언급했다. 연준이 물가지표로 삼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상승률은 지난해 12월에 4.4%(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했다. 연준 목표치(2%)보다는 여전히 높지만 5%를 넘었던 두 달 전과 비교하면 많이 내려간 수준이다.

파월의 발언은 강경한 통화 긴축(기준금리 인상) 의지를 반복적으로 표명한 과거와 비교할 때 상당히 누그러진 것이다. 연준의 긴축 강도가 약해지리라는 기대가 번지면서 증시가 상승하고 달러 가치는 크게 내려갔다. 2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0.8%, 1.8% 상승했고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11원 급락한 1220.3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달러 환율로는 지난해 4월 7일(1219.5원) 이후 최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