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수군의 판옥선은 견고하고 방향 전환 능력이 탁월했으며 전투할 수 있는 공간이 넓었다. 반면 둔중해 속력이 느렸으며 썰물 때 돌진이 어려웠다. 판옥선의 규모는 길이 32.16m, 너비 8.74m, 높이 5.56m, 중량 140.3t이었다.”

3D로 복원된 판옥선 자료=문화재청 그래픽=송수현

임진왜란(1592~1598) 때 이순신 장군의 해전 승리를 이끌었던 판옥선(板屋船)의 원형을 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문헌 자료 분석, 실시설계와 조선공학 분석을 통한 학술연구 보고서 ‘판옥선’을 28일 발간했다. 1555년(명종 10년) 개발된 판옥선은 거북선 제작의 토대가 되기도 했던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밝힌 사실은 판옥선의 바닥이 전통 한선(韓船)처럼 평평한 것이 아니라 선수와 선미 부분이 부드럽게 휘어 올라와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소 홍순재 학예연구사는 “파도와 부딪힐 대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휜 목재를 썼다”고 말했다.

또 하나 새로운 발견은 노의 형태다. 나무 두 개에 못을 박은 전통 노는 삐걱거리고 추진력이 떨어져 큰 배를 감당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나무 하나를 써서 손잡이를 T자 형태로 만든 새로운 노를 개발했다. 새로운 노는 전후방을 주시하며 젓는 ‘추진형 노’와 방향을 제시하는 ‘조정타 노’의 성격을 모두 갖춰 추진력과 방향 전환 능력이 모두 뛰어났다는 것이다.

판옥선은 평평한 갑판 위에 널판을 세운 뒤 덮개를 덮어 노를 젓는 노군(櫓軍)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였다. 보고서는 “사수·포수·화포장 등 군사들이 상갑판 위의 넓고 높은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전투를 치를 수 있게 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