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새 환자가 27일 441명 나왔다. 대구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방역 역량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감염 의심자를 추적 격리하는 역학조사관이 수도권에 150명 안팎이다. 이들로는 환자 폭증을 감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방역망에서 놓친 '깜깜이 환자'들도 최근 열흘 새 세 배 수준으로 치솟았다. 방역 둑이 무너질 수 있다.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건 병상 문제다. 음압격리, 산소호흡기 등을 갖춘 중환자용 병실은 26일 현재 서울 21개, 경기도에 3개만 남았을 뿐이다. 광주시와 강원·충남·전북에선 중환자를 받을 수 있는 병상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증상이 덜한 환자용 병상도 서울 191개, 경기도는 23개만 남았을 뿐이다. 경기도에선 환자 70여명이 집에서 대기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정부는 대구 사태 이후 수도권 대유행에 대비해 병상을 충분히 확보하겠다고 해왔다. 그런데 막상 상황이 벌어지자 병상 부족 문제가 터지고 있다. 지난달 환자 발생이 주춤하자 감염 가능성이 높은 교회 소모임을 허용하고 외식·여행 쿠폰을 뿌리겠다고 발표하더니 이달 초엔 "감염 확산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했다"고 공언하기까지 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병원에 "코로나용 병상을 일반 병상으로 전환하라"고 했다. 실제로 수도권 병원들이 코로나 치료용 음압병상을 대폭 줄이는 일까지 벌어졌다고 한다. 그러다 수도권 환자 폭증 사태에 직면하자 정부는 다시 병원을 상대로 코로나용 병상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수도권 중환자실에 60개 안팎 병상이 확보돼 중환자는 언제든 치료받을 수 있다는 식으로 말했다. 알고 보니 실제 사용 가능한 병상은 7개뿐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래도 "병원이 잘못 보고해서"라며 병원 탓만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