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환 기자

정부가 지난 5일 국내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평균 내려받기 속도가 초당 656메가비트(Mbps)에 달하고, 5G에 접속 가능한 시간(가용성)이 60~70%대로 매우 높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작년 4월 서비스 시작 이후 정부의 첫 5G 품질 조사 결과입니다.

하지만 소비자 대부분이 이 결과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체감 품질과 차이가 크다는 겁니다. 집과 학교·직장 근처에 5G 기지국이 빽빽한 일부 사용자를 빼면 정부가 '평균'이라고 한 품질 수치는 체감상 '최고 수치'에 가깝다고 합니다. 오히려 영국의 시장조사 기관 '오픈시그널'의 조사 결과가 더 현실적이란 말까지 나옵니다. 오픈시그널은 국내 5G 평균 속도를 215M~237Mbps, 가용성은 12~15%로 측정했습니다.

본지가 작년 4월 1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측정한 통신 3사의 5G(5세대 이동통신) 속도.

5G가 여전히 시작 단계라는 점을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아직도 4G 서비스와 연동해 운영 중이고, '5G 전용'이라는 28㎓ 주파수 서비스는 시작도 못 했습니다. '4G보다 20배 빠르다'는 5G의 이론상 최고 속도(20Gbps)를 내려면 갈 길이 멉니다. 4G도 현재(평균 158Mbps)에 근접한 속도를 내기까지 5년 이상이 걸렸고, 서비스 10년째인 지금도 이론상 최고 속도인 1000Mbps(1Gbps)의 6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래도 미국·호주·영국보다는 한국 5G가 40~90% 이상 빠르다고 합니다. 오픈시그널의 조사 결과입니다.

일각에서는 '5G 요금이 품질에 비해 너무 비싸다'고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는 정부가 답해야 합니다. 정부는 통신 3사에서 3조6000억원의 5G 주파수 이용 대가를 받았습니다. 매년 수조원의 5G 투자도 독려하고 있죠. 월 5만~12만원에 이르는 요금도 정부가 인가해 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