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 누구요.' 허옇게 변해버린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머리카락 색에 대한 온라인 댓글이었다. 지난달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이 지사의 대법원 상고심이 전국 생중계되면서 "왜 갑자기 늙었느냐"는 이들도 있었다. "코로나 때문에 염색할 마음의 여유가 없다"던 이 지사의 말에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을 따라 하는 것이냐"는 반응도 있었다. 반면 "연륜 있어 보인다" "부드러운 학자풍이다"고 긍정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관심도 잠시. 이 지사의 백발은 자연스레 받아들여지는 모습이다.

같은 은발도 여성 정치인이었으면 어땠을까. 강경화 장관이 등장했을 때를 떠올려보자. 염색을 안 하는 이유가 온갖 매체를 장식했고, 머리카락 색을 두고 성희롱 논란까지 퍼질 정도였다. 국내에서만 유독 두드러진 일도 아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교수이자 고전학자인 메리 비어드는 지난 2013년 BBC 방송 출연 뒤 긴 백발 머리스타일과 관련해 각종 폭언을 감내해야 했다.

비어드 사건이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면서 영국 가디언과 캐나다 글로브앤드 메일 등은 "백발 머리 여성은 과거 '마녀'를 표현하거나 미친 여자, 혹은 가난하고 추한 노파를 표현할 때 주로 이용됐다"면서 "은발의 할리우드 남성 배우들이 '실버폭스(은여우·섹시한 느낌이라는 뜻)'라는 애칭을 가졌던 것과 상반된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은발 신사 VS 백발 마녀'로 압축된다.

연령차별주의(Ageism)가 사회 문제시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모토처럼 퍼지면서 이제 흰머리는 특히 여성에게 파워슈트 못지않은 '갑옷'이 되고 있다.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카리스마 리더 미란다(메릴 스트리프)의 백발을 보라〈사진〉.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와 테리사 메이 전 영국 총리 등 은발의 여성 권력자가 세계무대를 주름잡았고, 20대 팝스타 빌리 아일리시는 탈색으로 흰 머리를 따라 하고 있다.

해외에선 흰 머리와 검은 머리가 섞인 반백 스타일을 '소금과 후추(salt and pepper) 헤어'라고 부른다. 식탁 위 마치 '한 쌍'처럼 자리하는 향신료이니, 제대로 된 '인생 맛'을 위해 빠질 수 없는 과정을 은유하는 듯하다. 그래도 '짠내'는 되도록 늦게 맛보면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