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6일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면서,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통일부, 외교부 등 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이 무력 도발을 할 때까지 제 역할을 못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 일부에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게 '책임론'이 제기됐다. 정 실장은 작년 말부터 나이(74세) 등을 이유로 여러 번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여권 핵심 관계자들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문을 연 주인공인 만큼 상황을 매듭짓고 그만둬야 한다"며 유임에 무게를 뒀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이 무력 도발까지 하면서 다시 '책임론'이 불거졌다. 하지만 코로나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해외 정상과의 연쇄 통화를 정 실장이 주도하면서 "다시 신임이 높아졌다"는 말도 나왔다. 여권 관계자는 "안보라인 교체 자체가 북한에 하나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했지만, "급박히 전개되는 상황 속에 장수를 교체하는 것이 맞는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서훈 국정원장 역시 2018년과 달리 대북 소통이 예전 같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남북 관계 악화와 관련해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집중 공격을 받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는 "북한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도 못 하고 있다"며 그의 능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장관 역시 북핵 문제에 대한 전문성 부족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