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기자회견에서 "정대협에 의해 30년 동안 이용당했다"고 밝혔는데, 2008년 사망한 고(故) 심미자 할머니도 일찌감치 "정대협은 위안부 피를 빨아먹는 거머리"라고 비판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1992년부터 13년간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던 위안부 피해자 심미자 할머니는 생전 "정대협은 고양이, 위안부는 생선"이라고도 했다. 본지는 심 할머니가 남긴 노트 두 권 분량의 일기장 사본 일부를 입수해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심미자 할머니 일기장 표지
일기장 표지(2)



이 일기에는 정대협 대표를 지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인을 원망하는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 윤 전 대표와 정대협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제대로 지원해 주지 않고 도중에 지원금을 착복했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에서 판결을 통해 첫 공식 위안부로 인정받은 심씨는 1992년 2월 일본 국회의사당, 일본 마이니치, 요미우리 신문 공동기자회견 증언을 비롯해 2005년까지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수십 차례 위안부 피해를 증언했다. 일기 중에는 윤 전 대표가 자신과 위안부 할머니들이 받아야 할 증언비를 착복했다는 내용도 있었다. "1997년 수원 어느 교회에서 심미자와 문필기(2008년 사망)가 함께 증언했는데 (교회에서 준)100만원 중 심미자 10만원, 문필기 10만원을 제외한 80만원을 윤미향이 가로챘다"며 윤 전 대표를 '도둑'등으로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내용이다.

심미자 할머니 일기장 사본

정부가 주최한 금강산 관광에서 자신이 소외됐다는 주장도 있었다. 심씨는 “2003년 10월경 위안부 할머니 15명을 모시고 금강산 관광을 가면서 심미자에게는 연락이 없었다. 정부에서는 125명의 관광비를 지불했다. 정대협이 110명치를 부정하게 먹었다”고 했다. 2003년 10월 당시 정대협 주관 금강산 인권캠프가 열렸고 당시 통영·거제지역 위안부 피해자들이 참여했으며 이는 2009년 한 매체에 사진이 보도됐다.

일기장 사본

정대협이 정부 지원품 지급에서 무궁화회 회원들을 부당하게 제외했다는 내용도 있다. “2003년 12월 24일 정부에서 할머니 137명에게 전기 조끼(발열 조끼)를 (줬는데)무궁회 회원들 33명 중에 21명은 정대협에서 전기조끼를 주지 않는다. 정대협이 104명을 부정하게 먹었다”는 것이다. 심씨가 소속된 위안부 피해자모임 ‘세계평화무궁화회’는 정대협과 갈등관계에 있었다. 2004년 “정대협이 위안부를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왔다”는 성명을 냈고 같은 해 정대협과 조계종 ‘나눔의 집’을 상대로 “수요집회와 각종 위안부 홍보활동을 중지하라”는 소송도 냈다. 이런 갈등관계 때문에 정대협이 무궁화회 소속 피해자에게는 정부 지원품도 제대로 나눠주지 않았다는 게 심씨 주장이다.

일기장 사본

심씨는 2004년 2월엔 노무현 대통령에게 ‘세계평화무궁화회를 정식 법인으로 인정해 달라’는 진정서도 냈다.

진정서

심씨는 2004년 5월 정대협에서 정부로부터 위탁받은 대로 피해자들의 보약값을 제대로 지불하지 않았다고도 주장했다. 정대협을 통해서가 아니라 정부에서 직접 할머니들에게 보약값을 지불해야 한다고도 했다. 일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경우 지불 내역을 알지 못한다고도 했다. 심씨는 그러면서 “정대협은 고양이고 위안부들은 생선이다” “한마디로 정대협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피를 빨아 먹는 거머리다. 대사관 앞에서 데모하는 것도 정대협 먹고 살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

일기장 사본

심씨는 정대협을 후원하는 단체나 개인에게 “정대협에 돈을 주면 안 된다. 장학금으로 주라”고 당부했다고도 밝혔다.

일기장 사본

심씨는 정대협 측이 자신을 ‘가짜위안부’라며 인신공격했다고도 주장했다. 2005년 10월 윤 전 대표가 자신을 “커미션을 뜯어먹고 사는 나쁜 년”으로 비방했으며, 동료 위안부 심달연 할머니(2010년 별세)의 돈을 가로채고, 공산 수예품을 직접 만든 것처럼 속여 일본에서 떼돈을 벌었다는 모함도 당했다고 주장했다.

일기장 사본

본지는 심씨 일기 내용에 대해 윤 전 대표와 정대협측에 수차례 연락했지만 답을 받지 못했다. 심씨가 주장한 증언비 횡령이나 금강산 관광 제외 등 구체적 사안에 대해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로도 질의했으나 윤 전 대표는 답하지 않았고, 정대협 관계자는 “지금 저희가 알 수 있는 게 별로 없다”고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