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감기에 걸렸을 때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 '감기 온라인(online) 진료 가능한 클리닉'이라고 치면, 병·의원 명단이 줄줄이 뜬다. 병원 홈페이지에 올려진 온라인 진료 가능 시간에 맞춰서 스마트폰 영상통화로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처방전은 팩스나 우편 택배 등을 통해 받을 수 있다. 2015년 시작된 원격진료 시행이 일본 의료를 이렇게 바꿔놓았다.

코로나 사태가 터진 뒤에는 지난 4월부터 환자를 처음 진료하는 초진(初診)도 원격진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은 초진은 대면 진료를 하고, 재진(再診)부터 원격진료가 가능했는데 전격적으로 변경한 것이다. 의료 정책에 보수적인 기조를 유지했던 일본 정부가 일본의사협회의 부분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단행했다. 일본 후생성은 전국 병·의원 17만여곳 가운데 온라인 진료가 가능한 1만1000여곳의 명단도 신규 공개했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위주였던 온라인 진료 대상 범위도 폐렴, 알레르기, 발열 질환 등으로 크게 확대했다.

이처럼 일본은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 대비한 비대면, 원격진료를 확대하고 있다. 원격진료 건수가 작년보다 세 배 이상 늘었다. 일본 국가전략자문회의는 지난 19일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 시기에 임시로 허용했던 초진 원격진료 특례 조치를 코로나로 인한 비상사태 해제 후에도 올해 지속적으로 실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우리나라가 지난 2010년 원격진료 관련 법안을 마련한 이후 논쟁만 하는 사이 일본은 2015년 도입, 2018년 국민건강보험 적용에 이어 단계적으로 원격진료를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