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일 8000가구 규모 미니 신도시를 짓겠다고 밝힌 서울 용산 정비창 부지는 서울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몇 안 되는 금싸라기 땅으로 통한다. 과거 민간 주도로 '국제업무지구'를 지으려다가 사업자 내부 갈등으로 무산됐고, 박원순 서울시장도 개발 계획을 밝혔다가 번복하는 등 우여곡절이 많은 곳이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민간 주도로 개발하다 무산됐던 용산국제업무지구의 당시 예상 조감도.

용산 정비창 부지는 코레일 소유로, 약 51만㎡ 규모다. 2007년 부채를 줄이기 위해 코레일이 삼성물산 등에 이 땅을 팔기로 했고, 인근 서부이촌동과 묶어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시작됐다. 용산여객터미널을 짓고 국제업무지구를 한강변까지 연결하는 총사업비 31조원 규모 프로젝트였다. 한국판 '롯폰기 힐스'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렸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고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자 결국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2013년 사업이 좌초했다.

2018년 7월 박원순 시장은 용산 정비창 부지와 여의도를 묶어 개발한다는 '여의도·용산 통개발' 구상을 발표했다. 서울을 대표할 국제 업무·상업 복합지구를 짓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발언이 용산과 여의도 주변 집값을 자극하면서, 박 시장은 결국 "집값이 안정될 때까지 사업을 무기한 보류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이후 개발이 중단되고 빈 땅으로 남아 있던 곳에 정부가 아파트 등 주택을 짓겠다는 방안을 들고나온 것이다.

과거 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에 따르면 이곳엔 원래 5000가구 정도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6일 정부 발표 방안에선 8000가구로 크게 늘었다. 주거 비율이 늘어난 만큼 오피스·호텔·쇼핑몰 등 업무·상업 시설 비율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서울시가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아봐야 알겠지만, 용산 국제업무지구 부지는 상징성과 잠재력이 큰 곳"이라며 "땅의 가치에 맞는 주택을 지어야 하고, 주거와 상업·업무 시설의 비율을 적당히 섞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