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과 조선족이 국내 인터넷 여론을 조작한다는 이른바 ‘차이나게이트’ 의혹에 대해 검·경이 본격 수사를 시작했다. 야당은 중국인과 조선족이 친(親) 중국·친 정부 여론을 선동한다고 주장하고, 여당은 이러한 의혹이 사실 무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수사결과에 따라 의혹이 해소 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14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동부지검 사이버수사부는 미래통합당이 고발한 ‘차이나게이트’ 사건에 대해 최근 수사 지휘를 시작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안전과는 수사 지휘를 받고 관련자 조사에 착수했다. 지난달 11일 통합당은 여론조작을 주도했다는 의혹을 받는 트위터 이용자 ‘김겨쿨’ 등을 컴퓨터등장애업무방해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서울청 사이버안전과는 이와 별도로 더불어민주당이 “차이나 게이트 의혹은 가짜뉴스”라고 주장하며 다수의 네티즌을 명예훼손으로 경찰에 고발한 사건도 수사하고 있다. 검·경의 수사결과에 따라 여·야 상반된 주장의 진위가 판가름나게 된 것이다.

차이나게이트는 지난달 27일 디시인사이드 등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조선족과 한국에서 공부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네이버와 여성들이 많은 인터넷 카페의 댓글을 조작하고 있다’ ‘극단적 친중·친문 네티즌 상당수가 조선족’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시작됐다. 대만의 반(反) 중국 사이트인 ‘동타이왕’의 링크를 실수로 타고 들어간 네티즌들이 “나한테 왜 이러느냐” “나는 배신자가 아니다”고 해명글을 남기는 모습이 수상하다며 이를 정황 증거로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네이버는 13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네이버 기사에 해외에서 댓글을 작성한 비중은 매우 낮다”고 해명했다. 네이버 측은 “작성자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프락시(Proxy·우회경로)나 가상사설망(VPN) 사용한 경우도 미미하다”고도 설명했다. 네이버 데이터랩에 따르면 13일 기준 네이버에 달린 44만9816개 댓글 중 국내에서 작성된 것은 97.4%이고, 해외 비중은 2.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