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청도 봉쇄' 논란은 더불어민주당 홍익표〈사진〉 수석대변인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홍 수석대변인은 25일 고위 당정(黨政)협의회 결과 브리핑에서 "봉쇄 정책이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정부 측에서 고민하고 있는데, 최대한 이동 등의 부분에 대해 일정 정도 행정력을 활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지역 봉쇄 조치를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이에 대구·경북 지역에서 격렬한 반발이 일어나자, 민주당은 발표 30여분 만에 "지역 봉쇄가 아니다"라고 급히 진화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2시간이 지난 오전 11시 10분에야 '수정 브리핑'을 했다. 그는 "보건 당국에서는 전문용어로 '봉쇄'와 '완화'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며 지역 이동 봉쇄를 부인했다. 그러면서 "오해될 수 있는 언론 보도가 나가는 건 지역사회에 큰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고 했다. '지역 봉쇄'가 아니었는데 언론이 잘못 보도했다는 듯이 말한 것이다. 해당 취재진과 야당에선 "행정력을 동원해 지역 이동을 차단한다는 뜻으로 말해놓고 파문이 커지자 엉뚱하게 '언론 탓'을 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홍 수석대변인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단어 자체가 불쾌감을 줬다면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과거에도 막말과 부적절한 발언으로 수차례 논란을 일으켰다. 2013년 민주당 원내대변인 시절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귀태(鬼胎·태어나지 않았어야 할 사람)의 후손'이라고 했다가 사퇴했다. 지난해 2월에는 20대가 보수화된 이유에 대해 "1960~70년대 박정희 시대를 방불케 하는 반공 교육으로 그 아이들에게 적대감을 심어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가 20대 폄훼 논란에 휘말렸다. 당시에도 그는 "일부 언론과 야당이 발언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최근엔 민주당 비판 칼럼을 쓴 임미리 고려대 연구교수에 대한 검찰 고발을 주도해 '표현의 자유를 탄압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여권 내부에선 "대변인이 계속 여권 표를 깎아 먹고 있다" "'익표(益票)'가 아니라 '실표(失票)'"라는 지적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