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가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심사를 위한 인사청문회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는 8일 법무부의 검찰 고위급 인사에 대한 야당의 공세에 "(총리) 후보자가 인사에 대해 가타부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자유한국당 주호영 의원이 "국민 누가 보더라도 '청와대와 살아있는 권력에 대해 수사하니 다 쫓아내 버린 것'이라고 느낄 수 있다"고 지적하자 "검찰 인사 내용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서 이같이 답했다.

한국당 성일종 의원도 "검찰 인사가 정상적이라 생각하는가"라며 "대한민국 검찰의 주인이 누구인가. 국민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성 의원은 이어 "총리에 임명됐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1년도 안 지나고 2~3개월도 안 지나서 아무 하자가 없는데 지금 총리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데 그것이 권력에, 대통령에게 대든다고 해서 총리를 잘라버렸을 때 받아들일 수 있겠나. 국민이 인정할 수 있겠나"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에 정 후보자는 "인사는 인사에 근거가 있을 것"이라며 "그 의사결정을 한 저간의 사정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 상황에 맞게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새로운보수당 지상욱 의원은 "본인들이 만들어놓고, 검증하고, 또 칭찬해놓고 '저 사람 (윤석열) 검찰총장으로 임명하면 우리를 거들겠어'하고 칭찬하고 (임기를 보장하는) 대통령령을 만들어놨다가 그게 안 되니까 조자룡 헌 칼 쓰듯 피의 숙청이 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지 의원은 이어 "좋은 청문회에서 좋은 말을 하려 했는데 뒤로 갈수록 마음이 무거워진다"며 "대통령에게 지금이라도 건의를, 이렇게 하면 안된다(고 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은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수사라고 볼 수도 있으나 검찰개혁에 대한 저항이라고 하기도 한다"며 "최종 인사권자는 대통령이다. 그 인사 역시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