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최종건, 김연철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비핵화 대신 '남북 협력'과 '평화 경제'를 강조한 데는 '대북 교류파' 참모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남북 관계 우선론'을 펴온 문정인 대통령 안보 특보와 그 제자인 최종건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 등이 그 핵심이다. 반면 '대북 제재 현실론'을 펴며 최 비서관과 갈등을 빚은 김현종 안보실 2차장 등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 특보는 6일(현지 시각) 미 싱크탱크 국익연구소의 세미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어디까지 미국과 함께 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의 지지자 사이에서 미국이 북한과의 협상 재개에 실패할 경우 한국이 독자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우리 정부 입장은 기본적으로 '미국과 같이 간다'는 것이지만 국내 정치적 상황과 한반도 상황이 어려워지면 문 대통령이 어떻게 계속 같이 갈 수 있겠느냐. 수정할 수도 있다"고 했다. 문 특보는 또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 가능성과 관련해 "아직까지 북한이 ICBM을 시험하고 위성을 발사한다고 해서 그것이 '임박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러의 대북 제재 완화 결의안을 한국 정부가 지지하느냐'는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입장과 상충될 수 있다는 지적에 "그래도 문재인 정부는 중·러의 제안을 지지할 것"이라며 "물론 대북 제재 완화를 위해 북한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했다. 최 비서관도 남북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며 대북 교류론을 강하게 주장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