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정책으로 가장 피해를 본 분야는 단연 원자력이다.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 전공 인재들의 미래마저 위태롭다.

올해 KAIST 1학년 가운데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를 선택한 학생은 단 4명이었다. 예년 20명 수준이던 지원자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된 2017년엔 9명, 지난해 5명에 이어 다시 줄어든 것이다. 특히 가을학기에 들어온 외국학교 출신이나 복학생들이 전공을 택하는 2학기엔 지원자가 아예 0명이었다. 한국원자력학회에 따르면, 원자력 관련 학과가 있는 전국 18개 대학에서 원자력 전공 신입생(학부 기준)은 2017년 586명에서 지난해 530명, 올해 489명으로 내리 감소세다.

한국에선 과학도들에게 외면당하는 한국 원자력은 해외에선 세계 최고의 경제성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블룸버그가 사우디아라비아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 예비 사업자로 선정된 한국·미국·프랑스·러시아·중국을 비교했더니 한국의 1㎾당 건설비가 가장 낮았다. 한국의 3세대 원전인 APR 1400은 프랑스·일본도 아직 못 받은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 인증도 받았다. 미국을 제외한 국가 중 NRC 인증을 받은 건 한국뿐이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의 한 4학년 학생은 "산업 자체가 아무리 경쟁력이 있어도 정권에 따라 언제든지 없어질 수 있는 현실을 목격하고 있다"며 "아예 해외로 나가거나 전공을 버리고 원자력과 전혀 관련 없는 분야로 가는 선배들을 보면 막막하다"고 말했다.

황일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석좌교수는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 산업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다"라며 "학생들의 숫자가 줄어드는 것보단 원자력 산업에 대한 학생들의 열정이 꺾이는 것이 더 안타깝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