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가 전문가들을 동원해 조국 법무장관의 가족 펀드 문제점을 깊게 분석하고도 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묵살한 배경에 문재인 정부와의 '끈끈한 유대관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참여연대는 문재인 정부 들어 주요 핵심 고위 공무원과 공공기관장을 줄줄이 배출하고 있다. '만사참통(모든 인사는 참여연대로 통한다)' '대학 서열 1위는 SKY 아닌 참여연대(大)' '노무현은 참여 정부, 문재인은 참여연대 정부' 같은 이야기가 시중에 나돌 정도다.

대표적인 인물이 역대 최단명(15일) 금융감독원장으로 기록된 김기식 전 참여연대 사무처장이다. 1994년 박원순 서울시장과 함께 참여연대 창립에 참여했다. 평소 재벌 개혁, 대기업 계열 금융사 규제 강화 등을 주장했지만 정작 본인은 기부금을 '셀프 후원'했다는 논란이 청문회에서 불거졌다. '인턴 비서를 대동한 황제 외유 출장' 의혹도 이어졌다. 끝까지 버티며 임명장을 받는 데 성공했지만, 정치자금법 위반이라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판단이 나오자 결국 자진 사퇴했다.

청와대 정책실장 자리는 참여연대 출신의 전유물이 됐다. 장하성 초대(初代) 실장에 이어 김수현 실장과 김상조 실장이 연이어 자리를 물려받았다. '회전문 인사' 비판도 나온다. 장하성 전 실장은 정책실장에서 물러난 뒤 올해 주중 대사에 임명됐다. 김수현 전 실장과 김상조 실장도 현 정부 고위직을 두 번씩 맡았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평화군축센터 자문위원),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국제인권센터 소장), 정현백 전 여가부 장관(공동대표), 조국 법무장관(사법감시센터 소장) 등도 참여연대 출신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한인섭 원장(사법감시센터 소장),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흥식 원장(사회복지위원회 위원장), 국민권익위의 박은정 위원장(공동대표) 등도 있다. 이 중 한 원장은 조국 법무장관 자녀에게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활동증명서 발급을 임의로 지시한 의혹을 받는다.

참여연대의 힘은 실제 정책에도 반영됐다. 참여연대는 문 정부 출범 한 달 만에 정책제안서 '새로 고침 대한민국'을 만들어 정부에 전달했고, 정부는 이 가운데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국정원 개혁 ▲최저임금법·근로기준법 개정 등을 '100대 국정과제'에 반영했다.

국회에도 더불어민주당 박주민·이재정 의원이 진출해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도 참여연대 출신(운영위 부위원장)이다. "권력 기관을 감시해야 할 참여연대가, 그 자체로 권력이 됐다"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참여연대” 관련

본 신문은 지난 10월 2일자 A02면에 “장하성, 김수현, 김상조, 조국, 김연철, 이석태… 참여연대 출신, 文정부 핵심권력 줄줄이 장악” 제목의 기사로 보도한 바 있습니다.그러나 사실 확인 결과, 송인배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은 참여연대와 관련이 없고, 참여연대와 부산참여연대는 별개의 단체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