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인 식탁

이라영 지음|동녘
|256쪽|1만6000원

'홍길동전'을 쓴 조선 중기 문인 허균은 저서 '성옹지소록'에 아버지의 스승인 화담 서경덕의 일화를 담았다. 아내가 엿새 동안 집을 비워 그동안 밥을 한 끼도 먹지 못했다는 내용이다. 지금의 관점에선 황당하지만, 엿새를 굶고도 굶주린 기색이 없는 화담의 '굳건한' 모습에 이야기의 방점이 찍힌다.

우리는 가끔 '세상이 전보다는 나아졌다'는 착각에 빠진다. 적어도 오늘날의 남성들은 아내가 없다고 엿새 동안 밥을 못 해먹을 정도로 어리석지 않으니까. 그러나 우리가 매일 앉는 밥상에는 여전히 차별이 자리 잡고 있다. 여성들은 아내와 엄마라는 이름으로 부엌 노동을 책임진다. 장애인들은 외식 한번 하기 어렵다.

프랑스에서 예술사회학을 공부한 저자가 밥상에 숨어 있는 정치적 함의를 밝혀낸다. 식탁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다양한 차별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약자를 모든 문제의 원인으로 돌린다는 것이다. '장애인이나 노인, 아이가 식당에 나타나면 민폐'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주방 일을 여성의 성 역할로 규정한다. 식탁의 약자는 곧 사회의 약자들이다. 사회가 변하려면 식탁부터 변해야 한다. 필연적으로 페미니즘과 소수자에 관한 이야기로 흘러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