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석탄 소비량이 1년 전보다 2.4% 증가해 OECD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석탄 소비가 늘었다. 탈원전 때문에 발전용 유연탄 소비가 늘었기 때문이다. 전력 수요는 늘어나는데 발전 단가 낮은 원전 비중을 억지로 줄이려다 보니 석탄 발전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석탄 소비를 줄이는데, 우리만 거꾸로 갔다. 실제로 OECD 회원국 전체의 석탄 소비량은 3.5% 감소했다. 미국(-4.3%), 일본(-2.1%), 독일(-7.2%), 영국(-16.6%) 등 주요국이 다 석탄 소비를 줄였다.

우리나라는 산업구조상 에너지 다소비 업종이 많다. 석탄 소비량이 중국, 인도,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다. 국민 1인당 석탄 소비량도 중국보다 많아, 호주에 이어 세계 2위다. 선진국은 물론이고 '석탄 대국' 중국조차 석탄 소비를 줄이는 흐름에 동참하는데, 미세 먼지도 심각한 나라에서 우리만 석탄 소비를 되레 늘렸다. 올해는 미세 먼지가 심각해 석탄 발전을 줄이고 대신 비싼 LNG 발전을 늘렸더니 상반기 한전 적자가 무려 9285억원으로 불어났다.

이런 '탈원전의 역설'은 독일이 먼저 경험했다. 독일은 탈원전을 결정하고 5년간 200조원을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쏟아부었지만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줄이지는 못했다. 신재생에너지는 날씨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이라 탈원전 공백을 석탄 발전으로 메웠기 때문이다. 전기료는 10년간 67% 급등해 우리나라의 2.5배 수준이다.

지금 세계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느라 탈석탄에 적극적이다. 영국 등 20여개 국가와 지방정부가 2030년까지 석탄 발전소를 폐쇄하겠다고 선언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에너지 수급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존 원자로 수명을 연장하고 새 원전을 건설하라'고 권고하는 보고서를 냈다. 프랑스는 당초 2025년까지 원전 비중을 75%에서 50%로 낮추기로 했다가 이 시기를 10년 늦췄다. 상업용 원전이 없는 호주의 경우 미래 청정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의회 차원에서 원전 검토위원회를 구성했다. 우리만 이런 흐름에서 벗어나 역주행을 계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