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김홍도의 '행상'.

"만석꾼 집안에서는 굳이 격려의 말을 하지 않아도 누구나 몸소 실천하여 착하게 살고 있다. 부유하면 덕이 모여들고 가난하면 악함이 일어나게 마련이다."

흡사 영화 '기생충'의 대사 "부자니까 착한 거야"를 연상시키는 이 구절은 조선 영조의 문인 식니당(食泥堂) 이재운(李載運·1721~1782)의 책 '해동화식전(海東貨殖傳)'에 나온다. '부(富)가 미덕이며, 가난이 악덕'이라고 주장한 18세기 재테크 서적인 이 책이 최근 번역 출간(휴머니스트)됐다. 사본 두 종류를 소장하고 있는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저자는 부의 추구를 죄악시하고 청빈을 예찬하는 유교적 가치관과 과감히 작별했다. 대신 "부(富)란 사람이면 누구나 좋아하는 맛 좋은 생선회나 구운 고기와 같은 것"이고 "제각기 자기 일을 열심히 하여 즐겁게 이윤을 추구하니 마치 바싹 마른 장작에 불이 옮아 붙어 활활 타는 것과 같다"고 예찬했다. 안대회 교수는 "부자와 상인에 대한 조선 사회의 지나친 편견에 맞서 떳떳하게 부를 추구하고 상행위를 인정하자고 했다. 당시엔 상상하기 힘든 주장이었다"고 평했다.

책에는 부자 9명에 대한 열전(列傳)이 실렸다. 호남 선비 김극술의 아내가 남편 몰래 도성 안팎의 약재 가게에서 당귀를 매점매석해서 3년 만에 집안을 일으킨 사연, 조실부모(早失父母)하고 어렵게 살던 이진욱이 은전 1000냥을 빌려 인삼 국제 무역으로 거부가 된 사연 등이다. 끼니때마다 밥을 다섯 숟가락 뜨고 한 번씩 올려다보았던 충주의 구두쇠 '자린급'(자린고비) 이야기도 나온다. 보통 천장에 조기를 매단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책에서는 "소금 한 되를 보자기에 싸서 들보에 매달아 놓았다"고 기록했다.

이재운은 조선 선조와 광해군 시기에 북인(北人) 당파의 영수였던 이산해(李山海)의 직계손. 하지만 아버지가 서자였기 때문에 서계(庶系·서자의 후손)였다. 55세인 1776년 뒤늦게 첫 벼슬인 전옥서 참봉에 임명됐지만, 이듬해 과거 시험에서 노론 대신의 두 아들을 위해 글을 지어준 혐의로 귀양을 갔다. '진흙을 먹는다'란 뜻의 식니당이라는 호에서도 불우한 처지를 연상할 수 있다.

이 책은 동료 학자 이규상에게 "근세 100년 사이에 이런 작품이 없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정작 200여 년간 잊히고 말았다. 안 교수는 이재운이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지식인이었고, 상인과 부를 긍정하는 혁신적 시각을 수용할 세력이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이재운의 주장은 조선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대단히 불온하고 위험한 사상이었다. 그는 너무 일찍 세상에 나왔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