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브랜드 BMW가 엔진 화재 사고 등으로 리콜하기 2년 전부터 언론 보도·소비자 불만 신고 등 문제가 발견됐지만,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이 사전 대응에 소홀했다는 감사 결과가 나왔다.

BMW.

감사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자동차 인증 및 리콜 관리실태’ 감사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감사원이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2015년 1월 이후 BMW 차량 주행 중 화재 기사는 매월 평균 1회, 기획기사는 총 11회 보도되는 등 BMW의 문제가 제기돼 왔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 등은 이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의 경우 2017년 11월 BMW 차주로부터 화재 당시 폐쇄형회로(CC)TV 영상 등과 함께 "BMW로부터 배출가스 재순환장치 냉각기 부분의 퇴적물로 인한 화재로 판명받았다"는 신고를 받는 등 총 6건의 신고도 받았지만 조사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이 지난 2017년 11월 BMW로부터 제출받았던 기술정보자료(차량 화재 사고와 유사한 고장 증상과 원인, 수리방법) 관련 자료 분석 현황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도 이를 방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BMW 차량 화재가 이슈화되기 시작한 지난해 7월 16일에서야 결함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BMW는 지난해 7월 25일 10만여대의 차량 자발적 리콜을 결정했다.

감사원 측은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은 언론, 소비자, 환경부 등으로부터 결함정보 수집 및 분석 업무를 소홀히 했다"며 "차량 화재 사고가 이슈화되고 나서야 조사에 착수했다"고 했다.

국토교통부는 결함을 확인하고도 제작자 반발 등을 이유로 리콜 조치 대신 법적 근거가 없는 ‘공개 무상수리 권고’ 결정도 지적받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3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리콜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된 60건 중 9건에 대해 공개 무상수리 권고 결정을 했다. 감사원이 9건의 공개 무상수리 조치를 확인한 결과, 3건은 무상수리 통지서가 차량 소유자에게 발송되지 않았고, 2건은 차량의 일부 소유자에게만 발송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