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윗에 6일 중국 증시가 블랙먼데이를 연출했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로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걷힐 것이라는 기대가 트럼프의 발언에 순식간에 약화된 탓이다.

중국 노동절 연휴(1~4일)가 끝난 후 처음 개장한 이날 중국 증시는 5~7% 급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5.58% 하락한 2906.46에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는 각각 7.56%와 7.94% 떨어졌다.

지난달 19일 3270.80까지 올라 올해 최고점을 찍었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장중 6.6% 떨어진 2876까지 내려가 3000선에 이어 2900선까지 내줬지만 막판에 반등되면서 2900선을 지켰다.

이날 상하이증권거래소에서 장 마감 한시간 정도를 앞두고 대형 우량주인 중국석유에 막판 거래가 크게 일어나면서 3.5%이상 떨어진 주가를 일시적으로 상승 반전시켰다. 중국석유는 이날 0.94% 하락한 7.34위안에 마감했지만 이 시점에 중국 증시에서 하한가 종목이 크게 늘어 1000여개로 늘어났다.

중국 증시가 6일 블랙먼데이를 연출했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국산 상품에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돌발 트윗’이 불확실성을 가중시켰다는 지적이다.

중국 인민은행이 이례적으로 증시 개장전 중소은행의 지준율을 사실상 2%포인트 이상 인하하는 조치를 취하고, 오전에 민간매체 차이신(財新)이 발표한 4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4.5%로 2012년 6월 이후 두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투자심리 악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중국 증시의 최근 상승세를 떠받쳐온 외자가 이날 하루 후강퉁(滬港通⋅상하이와 홍콩 증시 교차매매)과 선강퉁(深港通⋅선전과 홍콩 증시 교차매매)을 통해 51억위안(약 8670억원)이상 빠져 나갔다. 장 초반에는 82억위안(약 1조 3940억원)이 빠졌지만 오후 들어 유출 규모가 줄었다.

오는 8일로 예정된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의 성사 자체가 금융시장의 불안을 진정시킬 지, 부추길지를 좌우하는 주요인이 될 전망이다.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가 당초 예상과 달리 워싱턴행(行)을 취소할 경우 타결 임박 기대가 컸던 미⋅중 무역협상의 불확실성이 고조될 전망이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는 장마감후 이뤄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대표단이 협상을 위해 미국에 갈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혀 판을 깨고 싶지 않은 중국 당국의 의중을 보여줬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이 안갯속으로 빠져드는 것은 지난 4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미⋅북 정상회담 전망에 불확실성이 더해지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어서 중국은 물론 세계 경제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지난해 9월 미국이 2000억달러(약 234조원)어치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10% 관세를 오는 10일 25%로 인상하고 다른 상품에도 관세를 추가로 매기겠다는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