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이날 오찬에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 김우식 전 부총리, 송호근 석좌교수, 김영란 전 대법관 등 12명이 참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사회원로 오찬 간담회에서 적폐청산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정파 갈등으로 국민 사이에 적대감이 높아지는 데 대한 우려를 나타낸 데 대해 야당은 "문 대통령은 적폐청산과 사회통합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이날 오후 부산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 규탄 집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적폐 수사를 지시하며 협치를 하지 않겠다는 말로 읽힌다"며 "나라가 어려워 모든 협치를 해도 모자란데 대통령이 협치하지 않겠다는 말씀을 하셔도 되나. 아주 유감스럽다"고 했다.

황 대표는 또 "이번 패스트트랙 과정에서 일어난 행태를 보면 민주주의라는 관점에서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이 너무 많다"면서 "명백히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가 필요하다. 저질러놓고 이제 대화하자는 것은 대화의 조건이 충족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동대구역 광장의 집회에서 "언제까지 적폐청산을 하고 누구와 협치를 하겠다는 것인지 묻고 싶다"며 "대통령의 말씀이 여권에서 나오는 얘기와 같다. 보수 궤멸을 외치는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만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의 성찰과 개선을 기대했으나 '역시나'였다"며 "국민 통합을 약속했던 문 대통령은 취임사가 무색할 정도로, 지난 2년간 적폐 청산이라는 미명하에 지난 정권과 상대 정파에는 가혹한 보복을 저지르는 동시에 자신들에겐 한없이 관대한 아량을 베풀어왔다"고 했다.

민경욱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사회 분열을 우려하고 있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은 유체이탈"이라며 "반민주·의회폭거로 갈등을 조장한 장본인이 누구인가"라고 했다.

민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적폐 수사를 계속 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는데, 손혜원·김의겸·드루킹과 김경수·환경부 블랙리스트 등 신적폐도 같은 잣대로 보기나 하는 것인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현 정부가 해온 적폐 청산은 정치보복이었고, 마녀사냥이었다"고 했다.

그는 "청산해야할 것은 다른게 아니라 안일한 경제인식과 오만한 현실인식"이라며 "문 대통령은 국민이 대통령을 걱정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라"고 했다.

바른미래당 김정화 대변인도 구두논평을 통해 "무능과 실정을 감추기 위해 과거에만 연연하는 정부, 이전 정부 못지 않은 각종 적폐행위들을 일삼는 정부는 적폐청산을 말할 자격이 없다"면서 "오늘날 정치권이 그 어느때보다도 갈등과 반목에 휩싸인 그 원인은 '과거집착', '자격미달' 문 대통령의 책임이 크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지금 문 대통령이 주장하는 적폐청산은 '구적폐를 신적폐가 공격하는 것'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