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간에는 올 상반기에만 최소 세 차례 정상 외교가 이어진다. 한국은 일본과는 과거사 문제로 갈등 중이고, 미국과는 최근 정상회담에서 북핵 해법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외교가에선 한국 정부가 남북 관계 개선을 무리하게 앞세우며 한·미·일 3각 공조에서 외톨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일 정상의 만남은 이달 말 아베 신조 총리의 미국 방문을 시작으로, 5월 일왕 즉위식과 6월 오사카 G20 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달아 참석하는 등 최소 세 차례 예정돼 있다. 지난해 강제징용 배상 판결 등으로 한·일 관계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미·일 간 '동맹 과시' 이벤트가 이어지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한·일 관계에서 일종의 '방치·무시 전략'을 취하며 한·미 관계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북한과의 비핵화 대화 진척이 없을 경우 한·미 정상 간 소통도 공전(空轉)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미 조야에선 본격적으로 한·일 관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 상원은 지난 10일(현지 시각)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는 한·미·일 3국 간 협력과 연대가 중요하다'는 취지의 결의안을 채택했고, 하원 외교위도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발의했다. 정부 소식통은 "하노이 회담 이후 미국이 우리 정부에 공개하는 정보의 양도 줄고, '화이트 라이'(선의의 거짓말)를 하는 경우가 늘었다"고 말했다. 미국이 미·북 간 '중재자' '촉진자'를 자처해온 우리 정부의 역할을 의심하는 기류도 감지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