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천석 논설고문

문재인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가원수이면서 외국에 대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한다. 국민은 대통령의 말과 행동을 국가원수로서 적절한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가라는 것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미래 세대는 대통령의 말과 행동 속에서 모범을 찾는다. 그런 의미에서 대통령은 교육자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5일 해군사관학교 졸업식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육·해·공군 3군 사관학교 생도는 나라를 지키겠다고 자원(自願)한 젊은이들이다. 확고한 국가관(國家觀)은 젊은 사관생도에게 애국심을 심어 훌륭한 장교로 성장하도록 정신의 영양분을 공급한다. 애국심은 미국·영국처럼 승승장구(乘勝長驅)한 역사든 폴란드나 이스라엘처럼 파란곡절(波瀾曲折)의 역사든 조국의 역사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대통령은 축사에서 "해군의 역사가 대한민국 국군의 역사입니다. 해군의 발자취가 국민 군대의 발자취입니다"고 했다. 여기서 그치는 게 좋았다. 그러나 축사는 이어졌다. "해군은 일본군 출신이 아닌 온전히 우리 힘으로 3군 중 최초로 창군(創軍)했습니다". 이 대목을 들은 해군사관학교 재학생들과 졸업생 가슴에 무슨 느낌이 번졌을까. 일본군 출신이 창군의 주역(主役)인 육군이나 공군과는 다르다는 자부심이 솟아올랐을까. 만일 육군과 공군사관학교 생도들이 함께 이 축사를 들었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사실과도 차이가 있는 말이다. 백범(白凡) 김구(金九)의 아들 김신(金信)은 공군 창군 멤버로 공군 참모총장을 지냈고, 광복군 참모장이던 김홍일(金弘壹)은 육군사관학교 교장으로 1세대 한국군 장교들을 길러냈다. 대통령의 말은 분열(分裂)의 메시지가 아니라 통합과 단합의 메시지를 실어 날라야 한다. 하물며 청년 장교들 앞에서야 두말할 나위가 없다.

발전하고 성장하는 나라 대통령과 좌절하고 쇠퇴하는 나라 대통령은 언어의 사용법도 다르다. 독립을 축하하는 국경일 연설은 그 차이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독립은 실패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실험이자 언제 어디서 길을 잃을지 모르는 모험(冒險)이다. 그래서 초창기 대통령들은 과거의 침략자를 자주 거론하고 경계심(警戒心)을 나타낸다. 그러나 자신감이 축적될수록 옛 침략자들의 그림자는 엷어지고 시선은 내부 부패와 자만심(自慢心)을 경계하는 쪽으로 향한다. 국민의 단합은 어떤 경우에도 빠뜨리지 않는다. 역사에서 자기 자리를 확보하지 못하고 헤매는 나라들은 반대다. 세월이 흘러도 현재의 좌절을 옛 침략자나 그 유산(遺産) 탓으로 돌린다.

한국 역대 대통령들의 국경일 기념사는 성공하는 국가의 궤적을 밟아가며 성숙해 왔다. 올해 3·1절 기념사는 그래서 더 뜻밖이었다. 긴 연설이었지만 초점은 서두(序頭)의 '빨갱이'와 '친일잔재 청산'이란 두 단어로 모아졌다. 두 단어의 위세(威勢)에 눌려 국가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후반부는 노래의 후렴처럼 맥이 풀리고 빛이 바래버렸다. 연설 속에서 대한민국 국민은 '억울하게 빨갱이로 몰린 사람'과 '생각이 다른 사람을 빨갱이로 모는 친일잔재'로 양분(兩分)됐다. 과거 어느 대통령도 이 같은 '분열의 어법(語法)' '역사 단절의 어법'을 사용한 적이 없다.

이상하게도 이 대목에서 1955년 12월 15일 평양최고재판소 특별법정에서 있었던 구(舊)남로당 영수이자 북한 정권 부수상이던 박헌영의 최후 진술이 떠올랐다. 그는 '조선민주주의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미 제국주의자들을 위한 간첩' 혐의로 기소됐다. "오전 공판에서 혐의를 부인한 것은 궤변이었습니다. 저는 미국 간첩의 두목이었습니다. 저의 반(反)국가적·반당적·반인민적·매국 역적 죄악을 널리 인민에게 알려 매국 역적의 말로를 경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서 발생한 갖가지 폭동의 명령자(命令者)이자 김일성과 6·25 남침을 공동 기획한 주모자(主謀者)가 미국의 간첩이라고 자백한 것이다. 사형이 선고된 그의 형(刑)이 언제 집행됐는지, 어디에 매장됐는지 아는 사람은 남쪽에 없다.

‘분열의 언어’와 ‘단절의 언어’는 역사의 필름을 거꾸로 돌리고 현재의 문제를 파악하는 눈을 어둡게 만든다. 아무 관련이 없는 듯 보이지만 현 정권이 경제 상황을 오판(誤判)하고 잘못된 처방(處方)을 고집하는 것이나 북한 비핵화(非核化)의 허상(虛像)에 갇혀 발을 헛딛고 동맹국과 틈을 벌리는 현상 역시 ‘분열과 단절의 의식’과 무관(無關)하지 않다. 생각은 말로, 말은 정책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