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오는 3·1절에 맞춰 추진하는 방안이 청와대와 여권(與圈) 일각에서 검토되고 있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방미(訪美)로 2차 미·북 정상회담이 2월에 성사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3·1절 남북 공동 기념행사와 김정은 답방을 맞추자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신년 회견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면 어떤 형태든 남북 정상이 마주 앉아 북·미 회담 결과를 공유하고 협의할 필요가 있다"며 '선(先) 미·북 회담, 후(後) 남북 회담' 방침을 밝힌 바 있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2월 중 열리면 그 직후인 3·1절이 김정은 답방의 적기라고 보는 것이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은 작년 평양 공동 선언에서 "3·1운동 100주년을 남북이 공동으로 기념하기로 하고, 그를 위한 실무적 방안을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합의했었다. 남북이 공동 행사를 치르는 수준을 넘어 4차 남북 정상회담을 이 시기에 진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 '3·1절 남북 정상회담'을 검토하는 인사들의 생각이다.

그러나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이 비핵화에 어떤 합의를 할 수 있을지 예측하기 어렵고, 합의 사항 이행을 두고 미·북 간에 추가적 변수가 생긴다면 남북 정상회담 추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3월 1일 방남에 대해선 추진된 적도, 논의된 적도 없다"며 "아직 북·미 회담도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의 3월 서울 답방이 불발될 경우 판문점 정상회담 1년이 되는 오는 4월로 남북 정상회담 시기가 연기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