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 수치가 4개월 연속 10만명에 못 미치고, 실업률은 13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는 등 고용 한파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가 세금을 퍼부어 단기 일자리를 급조하고 있는데도, 고용지표가 나아지지 않자 본격적인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내년 이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은 14일 '10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면서 "지난달 국내 취업자는 총 2709만명으로 1년 전에 비해 6만4000명 늘었다"고 했다. 이 같은 수치는 7월(5000명)과 8월(3000명)에 1만명에도 못 미쳤던 것에 비해선 다소 개선된 것이다. 그러나 1년 전 취업자 증가 폭(28만1000명)에 비해선 5분의 1 수준이다.

특히 도·소매, 음식·숙박, 사업시설관리 등 최저임금 인상에 민감한 업종에서 1년 전보다 29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도·소매 업종에서 10만명이 줄었고, 음식·숙박업종 취업자가 9만7000명 감소했으며 아파트 경비원 등의 취업자가 9만명 줄었다. 이런 민간 일자리가 크게 감소하면서 정부가 만든 공공 일자리 취업자도 많이 늘었는데도 고용 한파가 지속됐다. 공공 일자리의 경우 보건·사회 서비스에서 15만9000명, 공공행정·국방 분야에서 3만1000명이 새로 생겨났다.

경제활동인구의 중추인 40대 일자리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점도 문제다. 40대 일자리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분기 8만5000개, 2분기 10만1000개, 3분기 14만3000개 줄어 감소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10월에도 40대 일자리는 15만3000개 줄었다. 40대는 공공 일자리에서도 소외돼 있다. 공공 일자리가 청년 인턴, 공무원 신규 채용 등 20~30대 청년층과 공공근로 같은 노년층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경기둔화세가 뚜렷해지면서 일자리 문제는 내년에 더 심각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는 "내년에도 최저임금이 10.9%나 오르고, 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 분쟁 등 글로벌 경제 여건이 더 악화되면서 취업자 증가 수는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