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해남군, 한국전력공사, 목포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 자동차부품연구원,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주)는 8일 오전 전남도청 서재필실에서 솔라시도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전남도 제공

전남도·한전 등 8개 기관 협력
3만6000명 명품도시 조성키로

전남 해남과 영암에서 2005년부터 개발하는 관광레저형 도시가 ‘스마트 도시’로 형태를 바꾼다.

전남도는 8일 무안 도청에서 산학연관(産學硏官) 8개 기관과 함께 ‘솔라시도(SolarSeaDo) 스마트시티’ 추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솔라시도는 태양(Soloar)과 바다(Sea), 도시(Do)가 어우러진 도시라는 뜻으로 ‘영암·해남 관광레저도시’의 브랜드 명이다. 산업체와 대학, 연구소, 관공서가 뭉쳐 솔라시도 스마트시티를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양해각서 체결 기관은 전남도, 해남군, 한국전력공사,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 목포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밸리융합원, 자동차부품연구원이다. 이들 기관은 관광레저, 에너지, 건강관리, 창업벤처, 자율주행,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등에 걸쳐 협력해 스마트 솔라시도를 세우기로 했다.

스마트 솔라시도는 친환경에너지, 첨단농업,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시티형 관광레저도시’다.

앞서 솔라시도는 2005년 기업도시 시범도시로 선정됐다. 2010년 문체부로부터 관광레저도시 개발계획 승인을 받았다. 2013년 부지 조성에 나섰으나, 투자자가 없어 작업이 지지부진했다. 상·하수도와 간선도로를 아직 깔지 못했다.

지난해 8월에서야 토지화를 마쳤다. 해남과 영암에 걸친 3390만1000㎡ 부지는 모두 간척지다. 2010년 개발계획 승인 이후 지난해 8월 토지화를 마침에 따라 땅의 구획을 긋고 지번을 부여받았다. 간척지 땅에는 지번이 없어 땅을 담보로 돈을 빌릴 수 없다. 시행자 입장에선 간척지에 투자할 수 없어 개발 행위에 제약을 받는다. 전남도는 “땅 개발이 늦어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자본을 끌어들일 여건이 생기자 전남도는 애초 개발계획을 변경해 스마트시티를 짓기로 한 것이다. 기존 ‘소비형 관광레저중심 도시’를 관광레저와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접목된 자족적 복합 도시인 ‘스마트시티형 관광레저도시’로 개발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18홀짜리 골프장 7개 건설도 포기했다. 변경된 개발계획은 내년 초쯤 문체부가 승인할 전망이다.

스마트시티가 들어서는 곳은 솔라시도 3개 지구(구성·삼호·삼포) 중 해남에 속한 구성지구다. 2095만1000㎡(634만평)에 달한다. 예상 부지 조성비는 1조 원이 넘을 전망이다. 2025년 준공이 목표다. 토지 조성 이후 끌어들일 정주 인구 목표는 3만 6000명이다.

윤병태 전남도 정무부지사는 “낙후된 서남해안권 발전을 위해 ‘솔라시도’가 성공해야 한다”며 “그래서 스마트시티로 개발 방향을 선회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전국에서 부산과 세종을 스마트시티 1단계 국가시범도시로 선정했다. 전남도는 앞으로 있을 국토부의 2단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에 솔라시도가 선정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에너지 분야를 맡은 한전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조성 사업 추진과 기술력과 노하우를 제공한다.

김동섭 한전 부사장은 “스마트시티의 기본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자급자족”이라며 “솔라시도가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발돋움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