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 빵, 수산·육류 가공품 등 일상적인 먹거리에 액상란(달걀 내용물만을 모은 것)이 들어가지만, 정작 액상란이 적절하게 살균 소독됐는지 점검하는 작업은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전국 초·중·고등학생 2207명이 학교 급식으로 나온 초코케이크를 먹고 식중독에 걸린 것도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액상란이 원인이었다. 액상란은 전란액(알 전체), 난황액(노른자), 난백액(흰자) 등의 달걀 가공품으로, 위생 비닐에 담아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납품한다.

국회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15일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액상란 같은 알 가공품은 업체가 월 1회 미생물(세균) 오염 여부를 자체 검사할 뿐 식약처에 따로 검사 결과를 제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업체가 검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정부가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유통된 액상란은 5만3210t으로 달걀 10억6400만개 분량이다.

국내 유통 중인 액상란에는 유통기한이 3일 이내인 '비살균 액상란'과 유통기한이 10일 정도인 '살균 액상란' 두 종류가 있다.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는 전체 알 가공 업체에서 생산한 제품 266가지 중 절반이 넘는 151가지(57%)에 대해 살균 액상란인지 비살균 액상란인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비살균 액상란의 경우 유통 기간이 짧아 일일이 세균 검사를 하기 어렵다. 기동민 의원은 "식품 제조업체들이 '살균 액상란은 비살균 액상란보다 거품을 내기 어렵다'고 불만을 표하고 있지만, 국민 안전을 위해서는 미국처럼 살균 액상란만 쓰도록 의무화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문제가 된 액상란 제품은 회수도 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가 국회 장정숙 의원(바른미래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집단 식중독 사태를 일으킨 초코케이크 중 절반(6732㎏ 중 3376㎏·50%)만 회수·폐기됐다. 케이크에 들어간 난백액(달걀 흰자만 가려낸 액체)은 회수·폐기율이 더 낮았다(3099㎏ 중 68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