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 업소 이용객·단속 경찰관의 휴대전화 번호 1800만개를 수집한 뒤, 성매매 업주들에게 되판 개인정보 업체가 붙잡혔다. 남자친구·배우자 부정(不貞) 사실을 조회해준다는 취지로 논란을 일으킨 '유흥탐정'도 이들 업체의 '고객'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성매매 업소.

15일 서울지방경찰청은 "불법으로 취득한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성매매업주들에게 되판 혐의로 개인정보업체 운영자 A씨 등 2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 거래에 관여한 나머지 4명은 불구속 입건됐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은 성매매업소 이용객이나 손님을 가장하고 단속에 나선 경찰관의 휴대전화 번호를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었다. 성매매는 대부분 업소에 전화를 걸어 예약하는 방식인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들은 이렇게 구축한 DB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앱(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만들어 성매매 업주들에게 팔았다고 경찰은 전했다.

현재까지 경찰은 전국 성매매업소 800여곳이 이 앱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업소 한 곳당 이용료는 15만원으로 조사됐다. 개인정보를 팔아 넘긴 A씨 일당은 최근 6개월 동안 7억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남자친구·배우자의 유흥업소 출입이력을 확인해준다"면서 지난 8월 영업을 시작한 사이트 ‘유흥탐정’도 이 업체에서 개인정보를 받아본 것으로 확인됐다.

‘유흥탐정’ 홈페이지 메인 화면.

‘유흥탐정’은 특정 남성의 휴대전화 번호를 알려주고 의뢰비 5만원을 내면 휴대전화 명의자의 성매매 업소 출입 기록을 확인해주는 ‘온라인 흥신소’다. 성매매 업소 출입 여부와 방문 날짜, 통화 내역 등 상세한 기록을 알려준다고 홍보하면서 논란이 됐다.

경찰이 수사에 나서자 유흥탐정 측은 운영하던 홈페이지를 폐쇄한 뒤 보안성이 뛰어난 모바일 메신저인 ‘텔레그램’으로 재(再)영업에 나섰다. 의뢰비도 처음엔 건당 3만원이었지만, 최근엔 5만원으로 올렸다.

그러나 유흥탐정이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성에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조선일보 디지털편집국이 익명의 남성 A씨의 휴대전화 번호로 성매매업소 이력을 문의하자, 5.9%의 정확도를 보였다. 유흥탐정이 제공한 17건의 성매매 이용 건 가운데 실제로는 1군데만 일치한 것이다. A씨는 "실제로 간 곳은 안 나왔고, 안 간 곳은 갔다고 나온다"고 전했다.

현재 서울 강남경찰서는 개인정보 불법 거래 대가로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로 유흥탐정 운영자의 소재를 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