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2일 작년 출생아 수가 35만7771명으로 2016년(40만6243명)보다 4만8472명이 줄었고, 합계 출산율도 1.05명으로 하락했다고 확정 발표했다. 더욱이 올해는 작년보다 출산율이 더 떨어져 0.9명대로 예상된다. 통계청은 올 2분기(4~6월) 신생아 수가 8만2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5% 줄었고, 2분기 합계 출산율은 0.97명이었다고 밝혔다. 분기별 합계 출산율은 작년 4분기 0.94명으로 처음으로 1명 미만으로 떨어졌다가 올해 1분기 1.07명으로 반등했는데, 이번에 다시 1명 미만으로 하락했다.

올 6월 출생아는 2만6400명으로 작년 6월보다 2500명(8.7%)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년 동월과 비교한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31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 같은 낮은 출산율이 지속되면서 한국은 앞으로 9년 뒤에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합계 출산율을 1.05명으로 매년 지속된다고 가정해 특별 추계를 한 결과 인구 감소 시기가 2027년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전체 인구 감소 시기가 통계청이 2015년에 추계했던 2031년에서 2027년으로 4년 앞당겨지는 셈이다.

신생아 수가 급감하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지방의 시·군들이다. 전국 229개 시·군·구(세종시 포함)에서 전년보다 신생아 수가 줄어든 시·군·구는 212곳으로 전체의 92.6%였다. 신생아가 증가한 곳은 17곳에 불과했다.

아기 울음소리가 가장 크게 줄어든 시·도는 울산시였다. 울산은 작년 신생아 수가 9381명으로 2016년(1만910명)에 비해 14% 줄어 처음으로 1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시·군·구로 보면 경남 합천이 29.3% (174명→123명)로 가장 많이 줄었고 강원 양양 28.6%(133명→95명), 강원 속초 25.9%(517명→383명) 순이었다. 반면 아기 울음소리가 늘어난 곳은 충북 영동(31.1%)을 비롯해 경북 영덕·경기 하남 등 대부분 대도시 인근의 개발 지역 17곳에 그쳤다.

농촌 군 지역들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 작년에 태어난 아기 수가 100명도 안 되는 지역이 2016년 2곳(경북 울릉·영양)이었으나 작년에는 충북 단양(92명), 강원 양양(95명), 전북 장수(98명)까지 5곳으로 늘어났다.

300명도 태어나지 않은 지역은 전체 시·군·구 4곳 중 한 곳(59곳·25.8%)이었다. 전문가들은 "300명도 태어나지 않은 시·군은 초등학교를 읍·면마다 유지할 여력이 없다"며 "현재 65세 이상이 사망할 30년 뒤면 인구가 크게 줄어 존폐 위기에 놓일 위험 지역"이라고 했다.

시·도 지역도 합계 출산율이 크게 떨어졌다. 서울은 작년 출산율이 0.84명으로 시·도별 인구 통계가 시작된 이래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천(1.0명), 경기(1.07명), 대전(1.08명), 전북(1.15명)도 사상 최저치였다. 특히 서울과 인천·경기 등 인구가 많은 수도권에서 1.0명 안팎의 낮은 출산율을 보인 것은 앞으로도 출산율이 계속 하락할 신호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삼식 한양대교수는 "저출산율은 대도시의 전문직에서 시작해 농촌 지역까지 금세 파급돼 전국 출산율이 하향 평준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