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가는 여성에게 추근거리는(come on to her) 말을 던지며 수작 부리는(make a move on her) 행위를 ‘catcalling’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노상 성희롱(street harassment)이다. 휘파람을 짓궂게 불어대는(mischievously blow a whistle) 것은 ‘wolf-whistling’이라고 한다. 늑대 같은 음탕한 관심을 드러내는(display a wolfish lustful interest) 휘파람이라는 의미다.

영국에서 이런 행위들을 여성혐오에서 비롯된 증오범죄로 규정하고(define them as hate crimes derived from misogyny) 처벌하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훗날 성폭력·가정폭력을 야기할(bring about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근본 원인에 미리 단호히 대처하기(deal sternly with the root causes in advance) 위해서다.

여성혐오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남성들이 표적을 삼는 행위(behavior targeted towards a woman by men)를 말한다. 만연해 있다 보니(be rampant) 일상적으로 물건 취급되고 희롱을 당한다(be routinely objectified and harassed). 여성혐오 행위에는 언어폭력(verbal abuse), 원치 않는 신체적 접근(unwanted physical approaches), 동의 없는 사진 촬영(taking photographs without consent), 원치 않는 문자메시지 전송 등도 포함된다.

여성혐오 처벌 찬성론자들은 개인적 특성을 근거로 한(be based on a personal characteristic) 적대감·편견이 동기가 되는(be motivated by hostility or prejudice) 증오범죄와 죄질(nature of crime)이 비슷하다고 말한다. 인종(race), 종교(religion), 성(性)적 성향(sexual orientation), 장애(disability), 성 정체성(gender identity)에 대한 범죄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휘파람 한 번 불고 말 한마디 건넸다고 증오범죄로 처벌하는 것은 과잉 대응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희롱과 단순한 시시덕거림을 구분해 선을 긋는(draw a line between harassment and flirtation) 것이 그리 간단하겠느냐는 것이다.

한발 앞서 음란 행위 방지 법률 제정에 나선(implement a legislation to combat lecherous behavior) 프랑스는 피해자가 겁을 먹어 불안감을 느끼거나(feel intimidated and unsafe) 불쾌함과 수치심을 느꼈는(feel unpleasant and shame)지를 기준으로 삼기로 했다. 예를 들어 '늑대 휘파람'은 그 정도에 따라 최대 750유로(약 99만원)까지 즉석 벌금형을 받도록(face on-the-spot fines of up to €750) 하는 법안을 상원에 상정해 놓은 상태다.

여성 뒤를 쫓아가며 전화번호 달라고 요구하는(ask a woman for her phone number) 행위도 불법화하기로(make it illegal) 했다. 이와 관련, "그럼 여성이 남성을 따라가며 전화번호를 달라고 하는 경우엔 어찌할 거냐"는 지적이 일었는데, 어떻게 보완됐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영문 참고자료 사이트]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5931785/Wolf-whistling-women-soon-hate-crime.htmlhttps://www.bbc.com/news/uk-politics-43303874https://www.independent.co.uk/news/world/europe/france-fine-wolf-whistling-ban-men-cost-penalty-law-a835655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