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이 20일 청와대에 설치돼 송인배 청와대1부속실장이 시험 통화를 하고 있다.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이 포털 댓글조작 혐의로 구속기소된 '드루킹' 김모씨와 4차례 만난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청와대가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의도적으로 덮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김경수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드루킹 연루 의혹 제기 직후인 지난 4월16일 송 비서관의 '자진 신고'에 따라 사건을 조사했다. 앞서 3월28일엔 백원우 민정비서관이 드루킹이 오사카 총영사로 천거한 도모 변호사를 면담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한달전 이번 사건의 얼개를 파악하고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민정수석실은 △송 비서관과 드루킹의 접촉과정에 별다른 문제가 없고 △송 비서관이 경공모(경제적 공진화 모임) 회원들로부터 받은 200만원도 통상적인 수준의 액수라는 이유로 조사를 자체 종결지었다.

당시 조사 결과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보고됐으나, 임 실장은 이같은 사실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그러나 21일 논란이 확산되자 뒤늦게 문 대통령에게 알렸고, 문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있는 그대로 설명하라"고 지시했다. 청와대가 연루 사실을 인지한지 35일만이다.

◇2016년 6월
송 비서관이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내 김 전 의원 사무실에서 경공모 회원들과 김 전 의원을 만났다. 이날 송 비서관은 회관 2층 커피숍에서 회원들로부터 '간담회 사례비' 명목으로 100만원을 받았다.

◇2016년 11월
송 비서관은 드루킹의 활동 근거지인 경기 파주의 느릅나무출판사 구내식당에서 경공모 회원 10여명과 식사를 한뒤, 간담회를 했다. 이날도 드루킹 일행이 같은 이유로 100만원을 건넸다.

◇2017년 2월
송 비서관이 드루킹 등 경공모 회원 7~8명을 자택 인근 술집에서 만났다. 다만 송 비서관은 대선 이후에는 드루킹 일행을 만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2018년 3월 21일
경찰 드루킹 긴급체포

◇2018년 3월 28일
백원우 민정비서관 청와대 연풍문에서 드루킹이 천거한 도모변호사 면담

◇2018년 4월 14일
김 전 의원과 드루킹 연루 의혹 보도
김 전 의원이 기자회견을 자처하고 "경공모 회원들이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댓글을 불법 조작하는지 몰랐다"고 밝혔다. 또 "드루킹에게 의례적인 감사 인사를 보낸 적은 있지만, 상의를 하듯 문자를 주고받지 않았다"고도 했다. 반면 드루킹은 2016년 10월 김 전 의원 앞에서 매크로를 시연했다는 입장이다.

◇4월 16일
김 전 의원이 두번째 기자회견을 열어 드루킹의 '인사청탁'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대선 이후 드루킹이 인사와 관련해 무리한 요구(오사카 총영사직)를 했고, 그것이 관철되지 않자 불만을 품고 일탈행위를 한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의원 측과 이미 7개월 동안 인사 관련 '협의'를 해왔다는 드루킹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4월 16일~20일
송 비서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드루킹과의 만남 사실을 자진 신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 16일 김 전 의원의 기자회견 직후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송 비서관은 '왜 우리 지지자가 마음이 바뀌었을까'라며 안타깝게 생각하다가 보도가 확산되자 '조금이라도 연계가 됐다면 미리 알리는 게 낫겠다'고 판단해 민정수석실에 신고했다.

◇4월 20일
민정수석실이 송 전 비서관에 대한 1차 대면수사를 실시했다. 송 비서관 외에 추가 조사자는 없었다.

◇4월 26일
민정수석실이 2차 대면수사를 실시하고 자체적으로 종결한 뒤, 임종석 비서실장에게 보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비서실장이 민정수석실의 내사 종결 수준이라고 생각하고, 대통령에게 특별히 보고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월 20일
송 비서관이 드루킹과 지난 19대 대선 전까지 모두 4차례 만난 사실이 드러났다. 아울러 김 전 의원이 송 비서관을 통해 드루킹을 처음 만나게 된 것도 밝혀졌다.

◇5월 21일
청와대가 송 비서관과 드루킹의 만남에 대해 공식 답변을 내놨다. 또 임 실장이 문 대통령에 관련 보도를 보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민정수석실이 사실을 알고도 뒤늦게 알리고 대통령에 보고도 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일단 그 전제가 성립하지 않는다. 그 전제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