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국회의원 임기 종료 직전 더미래연구소에 자신의 정치자금으로 후원금 5000만원을 보내고, 그 뒤 스스로 연구소장에 오르면서 급여 명목으로 2016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8500여만원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야권에서는 “국고로 귀속될 정치자금을 더미래연구소에 불법적으로 맡겨놓고, 다달이 월급으로 받아간 ‘자금 세탁’ 아니냐”는 비판이 일었다.

김기식 금융감독위원장.

더미래연구소 결산보고서 등에 따르면, 김 원장은 19대 국회의원 임기 종료 직후인 2016년 6월 더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선임되면서 인건비 등 명목으로 2017년 말까지 8550만원(19개월치)을 받았다. 19대 국회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을 지냈던 김 원장은 의원 시절에도 더미래연구소의 이사 겸 운영위원장을 맡았었는데, 이 때는 별도의 인건비를 받지 않았다.

김 원장이 2016년 5월 19일 자신의 정치자금 5000만원을 새정치민주연합 초재선 모임인 더좋은미래에 기부했고, 이 돈은 더좋은미래의 싱크탱크인 더미래연구소에 귀속됐다. 같은 해 6월 28일 더미래연구소는 임시이사회를 열고 김 원장을 소장으로 선임했다. 2016년 연구소 결산서에 따르면 전년도 결산서에는 없던 인건비가 추가됐는데, 김 원장이 가져간 돈은 7개월에 3150만원이었다. 이듬해에도 김 원장은 인건비 5400만원(12개월치)을 받았다.

앞서 자유한국당은 김 원장이 더미래연구소에 5000만원을 후원한 것은 선거법 위반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김 원장이 연구소 후원 전 선관위에 후원의 적법성 여부를 묻자 선관위는 “정치자금으로 회비를 납부하는 건 무방하지만, 그 범위에서 벗어나 특별회비 등의 명목으로 금전을 제공하는 것은 공직선거법 113조에 위반될 것”이라고 회신했다. 김 원장은 5000만원 후원 전 가입비 명목으로 1회 1000만원, 다달이 회비 20만원씩을 내왔다.

앞서 이와 비슷한 의혹도 제기됐다. 김 원장이 국회의원 임기 말 정책연구 용역비 명목으로 1000만원을 국민대 계봉오 교수에게 지급했는데, 그 이후 계 교수로부터 500만원을 더미래연구소의 후원금조로 되돌려받았다는 내용이다. 계 교수는 “연구용역 진행 과정 중 홍일표 보좌관(김 원장의 보좌관)과 의견을 주고 받았는데 더미래연구소의 재정상태에 관한 얘기를 들었다”며 “더미래연구소 정책연구위원으로 참여하고는 있지만 연구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해 다소 빚진 마음이 있어 기부금을 내게 됐다. 연구용역이 마무리되고 1~2개월 정도 후에 기부금을 낸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