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전광석화식 노동개혁의 가장 큰 걸림돌은 200여년 역사의 강성 노동조합이다. 마크롱이 이를 뚫는 전략은 '각개격파'다.

마크롱 대통령은 취임 9일째인 작년 5월 23일 프랑스 3대 노동단체 대표를 만났다. 작심하고 노동개혁을 최우선 국정 순위로 삼았다는 뜻이다. 대통령과 노동계 대표의 만남은 과거 노정(勞政) 회담 방식과 달랐다. 민주노동동맹(CFDT), 노동총동맹(CGT), 노동자의힘(FO) 대표를 각각 따로 대통령궁으로 불러 개별 면담을 했다. 노동단체 수장들은 다른 단체 대표가 마크롱과 어떤 사안에 협조하고, 어떤 사안에 반대했는지 알 수 없었다. 대통령이 수적으로 1대3 열세에 놓이는 상황도 피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마크롱이 노동단체들을 무장해제시켰다"고 평가했다.

무장해제는 그냥 이뤄진 게 아니다. 노동개혁 실무진에 노동계 출신 인사들을 대거 배치해 노동단체들의 거부감을 줄였다. 마크롱만 3대 노동단체 수장들을 만난 게 아니다. 에두아르 필리프 총리와 뮈리엘 페니코 노동장관도 각각 그들을 따로 만났다. 마크롱 취임 이후 노동법 개정안을 통과시키기까지 4개월간, 마크롱과 총리·장관은 300시간에 걸쳐 100번이나 노동단체 대표들과 미팅을 가졌다.

이런 전략적인 접근은 톡톡히 효과를 봤다. 강경 노선을 주도하는 제2 노동단체인 CGT가 제안한 파업에 최대 노동단체인 CFDT는 참여하지 않았다. 지난 1월 푸조시트로엥그룹이 1300명을 명예퇴직시키고 대신 2000명의 장기계약직을 채용하는 구조조정에 들어가자, CGT는 "비정규직을 양산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CFDT는 "급변하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대하지 않았다. 파업 건수도 2016년 801건에서 작년 712건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