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풀려남으로써 삼성그룹의 리더십 공백 상태가 일단 해소됐다. 이 부회장이 부재했던 지난 1년간 삼성전자는 외형적으론 성장한 듯 보였지만 내용적으로는 답보 상태를 면치 못했다. 반도체·휴대폰을 대체할 새로운 먹거리 사업을 발굴하지 못했고 글로벌 거대 기업들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합종연횡에도 제대로 참여하지 못했다. 매년 3~4건씩 해외 업체를 인수하던 것도 지난 1년간 올스톱했다. M&A(인수·합병)이나 신산업 진출처럼 오너가 아니면 하기 힘든 굵직한 경영 결정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 결과는 수년 뒤에 나타날 수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지만 많은 전문가는 삼성전자가 위기라고 진단한다. 삼성전자의 호실적은 과거 경영 결정의 결과이며, 미래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초호황을 누리는 반도체는 3~5년 전 공격적으로 투자해놓은 것이 열매로 돌아온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TV도 2000년대 초부터 투자해 세계 1등이 된 사업 분야다. 짧게는 수년 전, 길게는 10여 년 전 투자했던 반도체·스마트폰·TV가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거의 전부를 차지한다. 지금 눈에 보이는 것은 삼성전자의 '과거'일 뿐이다.

삼성전자의 3대 사업마저 한계에 근접했다. 반도체는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글로벌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굴기(崛起)'를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는 중국 업체들 추격이 거세다. 스마트폰이나 TV의 세계 시장 점유율도 하락 추세다. 중국·인도 시장에선 이미 중국 업체들에 1위를 빼앗겼다. 새로운 신성장 사업은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 유일한 신규 사업인 자동차 전자 장비 분야는 아직 뚜렷한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아무리 삼성전자라고 해도 내리막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한국 전체 수출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를 넘고, 삼성 반도체 한 폼목만도 12%에 달한다. 그만큼 삼성전자가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몫이 절대적이다. 삼성전자가 고전하면 한국 경제가 타격받게 된다. 삼성의 사훈(社訓) 중 하나가 '사업 보국'이다. 이제 이 부회장이 숨 가쁘게 펼쳐지는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한다. 정치권도 더 이상 기업을 외풍에 휘말리게 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