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 입은 'MB집사' 김백준 - 이명박 전 대통령의‘집사’로 불렸던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17일 오후 서울중앙지검의 조사를 받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리고 있다.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수사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며 이 전 대통령을 코너로 몰고 있다. 검찰은 이명박 청와대의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과 관련, 이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측근들이 국정원 자금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해 수사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검찰은 17일 이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리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을 국정원 특활비를 받은 혐의로 구속했다. 이제 검찰 수사가 측근들을 넘어 이 전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하기 시작한 것이다.

검찰은 최근 국정원 관계자들로부터 김백준 전 기획관에게 2008년과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국정원 특활비 총 4억원을 전달했다는 구체적인 진술을 확보했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복심(腹心)으로 통하던 김주성 전 국정원 기획조정실장은 최근 검찰에서 "2008년 김 전 기획관에게 특활비를 전달한 직후 이 전 대통령을 독대해 '청와대가 국정원 특활비를 받으면 향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이 청와대의 국정원 특활비 수수를 이때부터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 측은 "그런 독대는 없었다"고 하고 있다.

20년 넘게 이 전 대통령을 보좌했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도 최근 검찰 조사에서 "국정원에서 받은 특활비를 (이 전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 측 청와대 행정관에게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실장은 또 2011년 10월 이 전 대통령의 미국 순방을 앞두고 국정원에서 받은 수천만원을 달러로 환전해 이 전 대통령 측에 전달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는 자동차 부품 회사 다스 수사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김성우 전 다스 사장은 최근 검찰에 '2007~2008년 검찰과 특검 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과 다스는 관련이 없다고 진술한 내용은 거짓이었다'는 자수서를 냈다. 김 전 사장은 "이 전 대통령 지시로 대부기공(다스의 전신)이 만들어졌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17일 경주에 있는 다스 협력 업체를 압수 수색했다. 법조계에서는 검찰이 이 전 대통령을 포토라인에 세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