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자국 내 북한 기업에 내년 1월 초까지 폐쇄 명령을 내린 가운데, 북한 식당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7일 보도했다.

SCMP는 중국 국경절인 10월 1일 베이징의 북한 식당 3곳을 방문, 폐쇄 명령이 내려진 이후의 식당 내부 상황을 보도하면서 “베이징 외교거리에 있는 한 북한 식당은 거의 텅 비어 있었고 평양에서 보내진 여종업원들이 둘러서서 손님들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 식당의 한 종업원은 북한산 해산물과 호주산 쇠고기를 내세운 메뉴판을 넘기면서 “한동안 사업이 침체돼 왔다”고 말했다.

한 20대 여종업원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얘기하려 하진 않았지만 어떻게 그곳에 왔는지는 설명했다. 이 종업원은 "우리는 3년 계약을 맺고 모두 평양에서 왔다. (북한의) 다른 지역에서 온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했다. 그는 "우리는 선택권이 없다. 우리 업무는 모두 (북한)정부가 정했다"며 "대학에서는 호텔 경영학을 전공했고 이 식당에 보내졌다”고 말했다.

SCMP는 “이들의 미래는 불투명하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75호가 통과된 지난 12일 부로 중국 정부 측에서 북한 기업들에 120일 내에 모두 폐쇄하도록 통보한 이후로 겉으론 조용하지만, 모두 걱정하고 있다"고 했다.

한 소식통은 "지난달 중순쯤 단둥에 있는 기업들이 북한 노동자를 신규 고용하지 말라는 통지를 정부로부터 받았다"며 "유엔 제재를 이행하려는 중국 당국의 태도가 엄중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SCMP는 "북한 노동자는 전 세계 약 50개 국가, 특히 중국·러시아에 6만명 정도가 파견돼 연 5억 달러(약 5732억원)의 외화를 벌어 김정은에게 바치는 것으로 한·미 정보 당국이 예측하고 있다"며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때문에 이제 중국 기업은 북한 노동자 신규 고용 및 기존 계약 연장이 불가능해 많은 북한 노동자가 북한으로 귀국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와 같은 북한 노동자들의 처지는 국제법에 따라 강제노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 이후 북한 정권의 외화 벌이 등을 통한 돈줄을 끊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압력에 짓눌리고 있다"고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매체는 그러나 폐쇄명령에 대해 북한 종업원들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고 전했다.

매체는 “식당이 닫을 시간이 되자 김일성ㆍ김정일 배지를 티셔츠에 단 매니저가 나와 하루 매출을 점검하고 여종업원들과 농담을 나눴다”며 “중국 당국의 폐쇄 명령 등을 북한의 종업원들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고 전했다.

베이징의 한 외교관은 북한이 또 다른 돈벌이 방안을 찾을 것이기 때문에 북한 종업원들이 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했다.

외교관은 "120일간의 폐쇄기간은 북한 기업들이 변화를 통해 중국에서 영업을 지속하기엔 충분한 시간"이라며 "북한인 투자자의 투자가 불가능해질 경우 사업자 명의 등을 중국인 앞으로 바꾸면 영업이 계속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뤼 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식당은 물론 대부분의 중국 내 북한 기업은 중국 상무부의 엄중한 지시에 따라 폐업할 것"이라며 "모든 북한 노동자들은 중국을 떠날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