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이 그동안 약에 처방하던 ‘식후 30분’ 규정을 ‘식사 직후’로 변경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병원에서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은 식전ㆍ식후ㆍ취침 전 등으로 나뉜다. 식전 약은 음식물이 약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밥을 먹기 전에 먹어야 효과가 좋은 위산분비 억제제 등의 약이다. 취침 전 복용약은 약을 먹은 뒤 졸리거나, 변비약처럼 아침에 효과를 보는 것을 기대하는 약인 경우가 많다.

많은 약의 복용은 ‘식후’에 이뤄진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식후 30분’으로 처방돼 왔다. 음식물과 함께 섭취할 때 약의 효과가 높아지거나, 위 점막 등을 보호해야 하는 필요가 있는 약이다. 당뇨약처럼 식사 직후에 먹어서 당분 흡수를 막거나, 식후 1~2시간 후에 복용해야 하는 일부 항암제 같은 예외도 있다.

서울대병원의 이번 복약 규정 변경은 ‘식후 30분’만 ‘식사 직후’로 바뀌며, 나머지 식전, 취침전 등의 복약 규정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동안의 식후 30분 기준은 약을 먹고 속이 쓰리거나, 몸 속에서 약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관행처럼 쓰여왔다. 하지만 김연수 서울대 신장내과 교수(약사위원회 위원장)는 “식후 30분이라는 기준에 대한 의학적 근거는 부족하며, 외국에서는 이런 복약 기준을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의약품 용기나 설명서에 적혀 있는 복약 요령에도 ‘하루 3회’ 등으로만 표기돼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에도 ‘30분’이라는 기준은 없다.

환자 입장에서도 식후 30분이라는 처방은 여러 가지 약을 한 번에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시간을 맞추기 어렵고, 실수로 30분을 넘기면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조윤숙 서울대병원 약제부장(약사)은 “이번 변경으로 처방 절차가 간소화되고 병원 내 대기시간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