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후 (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사무국 회의실에서 안토니우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북핵 해결을 위한 대화 중재'를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뉴욕 순방 첫 일정으로 구테흐스 사무총장을 만난 자리에서 "북핵 문제가 평화적 방식으로 근원적·포괄적으로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유엔 사무총장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면서 "구테흐스 사무총장의 대화 중재 노력에 한국 정부가 적극 호응하겠다"고 밝혔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대해 구테흐스 총장은 "북핵 문제의 심각성과 엄중함에 비춰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안보리 결의 이행을 위한 유엔 차원의 협력과 함께, 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하에 가능한 노력을 해나가겠다"고 답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이어 구테흐스 총장은 "한국 새 정부의 대북 정책을 관심있게 봐왔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안보리 제재결의안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 국제사회의 단합, 그리고 군사적 해법이 아닌 외교적 해법에 의한 해결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언급한 '대화'의 주체가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북핵 6자 회담 또는 남북 양자 대화 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베를린 구상'이나 국내 연설 등을 통해 남북 대화 제의를 수차례 해왔는데, 이는 북핵 해결용이 아닌 우발적 군사 충돌을 막기 위한 실무형 남북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등을 위한 남북적십자회담 제의 두 가지였다. 유엔 대북 제재 등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단독의 남북 대화 제의는 제재 공조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번에 유엔이라는 제3자 공식 기구에 북핵 대화 중재를 요청하면서 '남북 대화'란 용어를 자제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적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가 대북 인도지원을 결정하면서 국내외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내세운 명분도 유엔 산하기구인 유니세프나 세계식량기구 등 '국제기구를 통한 공식 지원'이란 점이었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구테헤스 사무총장에게 당부한 대화 중재 노력이 남북 간의 대화일지, 또 국제사회 전체의 그런 대화, 특히 미국과 북한의 대화일지 그런 것은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았지만, 어쨌든 중재 노력이라고 하는 원론적 표현으로 두 분이 대화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대북 특사라든지 유엔 차원에서의 북한 파견 논의가 있었나'라는 질문에 "그런 것은 없었다. 짧은 시간에 두 분이 그런 구체적인 어떤 것들을 논의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자리였다"고 했다.

문 대통령과 구테흐스 사무총장간 면담은 지난 7월 독일 G20 정상회의 계기 후 두 번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