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현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우울증이 특정 계절에만 찾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겨울에 가장 흔하다. 삶의 활동도가 떨어지고 잠도 늘어나는 특징을 보일 때가 많아, 추위와 배고픔을 겨울잠으로 버티던 오랜 생물학적 특성이 남아 있어 겨울 우울증이 흔하다는 주장도 있다. 다른 이유론 겨울에 일사량이 적은 것이 뇌에 영향을 주어 겨울 우울증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실제로 겨울 우울증은 극지방 가까운 곳에 흔하고, 인공적인 빛을 쬐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빛이 쨍쨍한 여름엔 우울증이 없어야 할 텐데 겨울 우울증 다음으로 흔한 것이 여름 우울증이다. 여름 우울증의 원인으로도 역시 '빛'이 범인으로 의심받고 있는데, 이번엔 빛이 너무 강한 것이 문제다. 강한 빛이 뇌 안 온도조절센터에 무리를 주고, 그러다 보면 호르몬 불균형 등이 생겨 정서 증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심리적인 설명도 있다. 여름의 햇빛 가득한 날씨를 보면 행복한 인생에 대한 기대치가 상승하는데 막상 내 마음은 지쳐 있고 다른 사람들만 행복한 듯 보여 그 결핍의 느낌 때문에 우울함이 찾아온다는 것이다.

겨울 우울증엔 축 처지는 증상이 많다면 여름 우울증엔 짜증과 불쾌감이 흔하고 그러다 보니 대인관계 갈등 같은 행동 문제가 발생하기 십상이다. 불쾌지수(不快指數)는 미국의 기후학자 톰(E C Thom) 이 1959년에 고안한 무더위 정도를 알아보는 기준인데, 한국인의 경우 80~83엔 반수가, 83 이상에선 모두가 불쾌감을 느낀다고 한다.

[흐린 날씨 '우울증' 위험 커져…]

여름에 불쾌지수를 측정한다는 것 자체가 여름엔 마음이 쉽게 지치고 불편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굳이 우울증까지 찾아온 것은 아니더라도 그럴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여름철 마음관리에 신경 쓸 필요가 있는데, 특히 요즘 같은 장마철엔 몸 관리와 마찬가지로 잘 먹고 잘 쉬는 것이 중요하다. 여름철 마음 건강식으로 무엇이 좋을까. 몸에 좋은 과일, 채소, 그리고 생선을 충분히 먹는 것이 마음 건강에도 좋아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과일과 채소에 있는 항산화 요소와 생선에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뇌를 튼튼하게 해준다는 설명이다. 음식을 골고루 먹는 습관도 다양한 영양소의 복합 효과를 누리게 해 우울증을 예방한다고 한다. 반면에 가공육, 초콜릿, 튀긴 음식, 그리고 지방이 담긴 음식은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을 높인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그렇다고 좋아하던 음식 다 끊고 건강식에만 집착하는 것에는 반대다.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때론 매콤한 떡볶이나 삼겹살도 필요하다. 즐겁게 대화 나누며 함께 먹을 때 지친 마음에 위로가 찾아온다.

잘 쉬는 것도 중요한데, 하루 10분 만이라도 마음 바캉스를 떠나보자. 바캉스의 어원이 자유와 연관된 것처럼 내 마음에 자유를 줄 때 지친 마음에 새로운 에너지가 차오른다. 360일 일하고 5일 몰아서 자유를 느끼는 것보다 매일 잠깐이라도 마음을 자유를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 마음은 생존을 위해 뛰던 엔진 스위치를 잠시 내리고 자연이나 문화적 콘텐츠에 연결될 때 자유를 느끼며 에너지가 충전된다. 예를 들어 해가 저물어 선선해진 저녁 시간에 시집을 한 권 들고 가까운 공원에 천천히 걸어가 시집을 툭 펴서 한 편 읽고 하늘과 주변을 살피며 돌아오는 것이다. 문화와 자연을 즐기고 가볍게 운동도 한 셈이니 일석삼조다. 꾸준한 운동은 그 자체로 강력한 우울증 예방 효과가 있다. 꼭 시집을 읽고, 걸어야만 하느냐, 그렇지 않다. 얼굴과 성격이 다 다르듯 사람마다 자유를 잘 느낄 수 있는 바캉스 방법도 다르다. 내 마음이 항상 지쳐 있다는 것은 열심히 살다 보니 지친 것도 원인이지만 나만의 마음 바캉스 법을 터득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무엇을 해야 내 마음이 충전되는지 잘 모른다는 뜻이다. 이번 여름, 나만의 마음 바캉스 비법을 개발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