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미국의 실업률이 4.3%를 기록해 200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내려갔다. 요즘 미국에선 일자리가 월평균 18만개씩 생겨난다고 한다. 미국 경제가 지속적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일자리 수준의 2배나 된다. 새로운 성장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가 생겨나는 덕분이다.

최근 한국을 방문한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본지 인터뷰에서 "실리콘밸리에서 기업·대학·정부가 협력해 신기술을 개발하고 고급 인재를 길러낸 교육의 힘이 미국 경제를 비교적 빨리 되살린 동력이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건 일자리 수가 아니라 더 큰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고급 인재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교육해낼 수 있는가다. 거기에 국가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말했다. AI(인공지능)·IoT(사물인터넷)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지금까지 상상하지 못했던 일자리가 생겨나는 시대에 한 나라가 성장하려면 창조적 인재를 길러내는 교육에 투자하라는 조언이다.

실제 각국 정부는 이런 흐름을 놓치지 않으려고 규제를 풀고 신기술 창업 및 인재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자연스레 따라오는 결과물이다. 이미 중국은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과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한국을 앞서가고 있다. 글로벌 인터넷 기업의 시가총액 상위 20위는 미국 회사 12곳과 중국 회사 7곳이 싹쓸이했다. 몇 년 전까지 이름조차 생소하던 중국의 신생 기업들이 청년 인재를 끌어들이는 '일자리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면서 쑥쑥 성장해 전 세계에서 가장 몸값 비싼 회사로 등극하고 있다.

한국에선 정부가 어제 공공 일자리 11만개를 만들겠다면서 추경 예산안 11조2000억원을 편성해 국회에 넘겼다. 공무원·교사 1만2000명 추가 채용 등 관제(官製)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 일자리 2만4000개, 노인 일자리 3만개 등 복지 차원 일자리가 대부분이다. 세금 나눠주는 것과 다를 게 없다.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는 투자가 아니라 학생 수는 줄어드는데도 교사를 늘리는 데 세금을 퍼붓는다고 한다. 나라가 미래로 가는 게 아니라 거꾸로 퇴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