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중앙선관위 초청 대선 후보 토론에서 각 후보는 검찰의 권한 제한에는 모두 동의했다. 다만 방법론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검찰 권한 중 고위 공직자 수사 부분을 분리해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를 설치하는 방안에는 다섯 후보 중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만 반대했다. 홍 후보는 문재인 민주당 후보에게 "공수처는 새 검찰청이 하나 더 만들어지는 것인데 (그전과) 무슨 차이가 있느냐"고 했다. 문 후보는 "그러면 홍 후보는 검사가 사건을 조작해 기소권을 남용할 경우 그에 대한 견제 수단이나 문책 수단은 무엇이 있느냐"고 했고, 홍 후보는 "경찰도 지금 (검찰) 그만큼 수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경찰과 검찰에 동일한 수사권을 줘서 (상호 감시하게) 해야 한다"고 했다. 문 후보가 "(검·경 수사권 조정) 그것도 제 공약"이라며 "(경찰에도) 별도 영장 청구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하자 홍 후보는 "그렇다"고 동의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검찰이 갖고 있는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시켜야 한다"고 했다.

국정원의 국내 활동 제한 부분에 대해선 의견이 갈렸다. 문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국정원의 국내 정보 파트를 폐지하겠다고 했다. 문 후보는 "국정원을 해외 안보 정보조직으로 개편할 것"이라고 했다. 안 후보는 폐지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고 "국정원의 국내 정치 개입은 응징할 것"이라고만 했다.

국회의원 정수 축소 문제도 거론됐다. 안 후보는 "200명으로 의원 수를 줄이겠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느냐"는 심 후보의 질문에 "정치권이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없다"면서도 "200명은 오해다. 제가 200명으로 줄이자고 하지 않았다"고 했다. 문 후보는 앞서 의원 수에 대해 "의원 정수 부분도 탄력성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심 후보는 또 문 후보에게 "선거법 개정에 대한 계획은 무엇이냐"고 했고, 문 후보는 "권역별 정당 명부 비례대표 제도"라며 "개헌 과제 속에 (선거법) 그 과제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했다. 안 후보는 "개헌을 통해 대통령 권한을 축소하고 견제받게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날 문 후보와 안 후보는 상호 토론에서 사드 배치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문 후보는 "안 후보와 국민의당은 처음에는 사드 배치에 대해 강력한 반대 이유를 댔다"며 "그 이후 아무런 상황 변화가 없는데 안 후보가 독단적으로 (사드) 찬성으로 입장을 바꿨다"고 했다. 이에 안 후보는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하고 사드는 배치 수순을 밟고 있다"며 "그러면 문 후보 말씀은 북한 5차 핵실험이 아무런 상황 변화가 없다는 말인가"라고 했다. 또 "의원들 모두 뜻을 모아서 (소속 의원) 39명 중 5명 빼고 모두 당론을 찬성으로 바꾸는 데 찬성했다"고도 했다. 문 후보는 "(안 후보가) 남북관계 악화 역대 정부 다 책임 있다(고 했다)"며 "(그 말은)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 책임이 있단 거냐"고 했다. 안 후보는 "노무현 정부 때 1차 핵실험은 어떻게 설명하실 거냐"고 받았다. 문 후보는 이에는 답하지 않고 "지금 김대중 정신을 말하면서 그런 얘기를 하느냐", "5·18 강령을 삭제하고 사드 말 바꾸기 계속 하는 게 안 후보"라고 했다.